甘言利說(감언이설)은 겉으로는 듣기 좋지만, 속셈이 있는 이기적인 말이나 아첨을 일컫는 사자성어다. 이는 타인을 현혹하거나 자기 이익을 위해 달콤한 말과 유리한 조건을 앞세우는 태도를 경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한자 풀이
- 甘(달 감): 달콤하다
- 言(말씀 언): 말
- 利(이로울 이): 이익, 유익함
- 說(말씀 설): 말하다, 설득하다
⇒ 달콤한 말과 이익을 주는 말이라는 뜻으로, 겉보기엔 그럴듯하지만 속셈이 숨겨진 말을 의미함.
유래와 배경
《논어(論語)》 「학이편」에서 공자는 “甘言利口는 선하지 않다”(甘言利口、鮮矣仁)고 하여, 말을 잘하고 듣기 좋게 하는 사람일수록 오히려 믿을 수 없음을 경계했다. 이러한 고전적 교훈은 오늘날까지도 사회적 관계에서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현대적 의미와 활용
1. 겉과 속이 다른 말
겉으로는 호의적인 표현이나 칭찬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자기 이익을 챙기려는 계산이 숨어 있는 경우.
예: "그 사람 감언이설에 속아서 투자했다가 큰 손해 봤어."
2. 아부나 아첨
상대방의 기분을 맞춰주며 듣기 좋은 말을 하지만, 진정성이 없고 신뢰하기 어려운 말투를 의미하기도 한다.
예: "요즘은 진심보다 감언이설이 더 잘 통하는 세상이라니 씁쓸해."
3. 사기나 꾀임의 수단
판매, 계약, 연애, 정치 등 사람을 설득해야 하는 모든 장면에서 감언이설은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
예: "정치인은 감언이설로 표를 얻지만, 결과는 책임지지 않는다."
영어 표현과 해석
- Sweet talk – 감미로운 말, 아첨
- Sugar-coated words – 설탕을 입힌 말, 듣기 좋은 말
- All honeyed words and no substance – 달콤한 말뿐, 실속 없음
- Flattery will get you nowhere – 아첨은 통하지 않는다
관련 표현과 속담
- 교언영색(巧言令色) – 말을 꾸미고 얼굴빛을 좋게 함
-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은 꿀이고 배는 칼이다, 겉과 속이 다름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 이익이 있으면 따르고, 없으면 버린다
반대 개념
- 충언(忠言) – 진심에서 우러난 충고
-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기초하여 진실을 구함
- 정직(正直) – 거짓 없이 바름
활용 예문
- "그는 늘 감언이설로 사람을 끌어들이지만, 책임지는 법이 없어."
- "감언이설이 통하지 않는 사람은 스스로 기준이 확실한 법이다."
- "요즘 마케팅은 감언이설로 가득 찬 문구가 넘쳐나지."
결론
‘감언이설’은 말의 포장보다 그 말이 전달하는 진심과 목적이 무엇인지 분별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사회가 복잡할수록 우리는 더욱 진심과 아첨, 진실과 기만을 구분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감언이설에 흔들리는 순간, 판단은 흐려지고 책임은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