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곤일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6. 9.

乾坤一擲(건곤일척)은 하늘과 땅, 곧 운명의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주사위를 던지는 것을 뜻하는 말로, 인생이나 어떤 중대한 일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을 때 최후의 결단을 내리는 절박한 승부를 가리킨다. 위험을 감수하고 모든 것을 걸어 최종적인 결과를 노리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다.

한자 풀이

  • 乾(건): 하늘 (하늘을 상징하는 주역의 팔괘 중 하나)
  • 坤(곤): 땅 (땅을 상징하는 팔괘)
  • 一(일): 하나, 단 한 번
  • 擲(척): 던지다

⇒ "하늘과 땅, 곧 전부를 걸고 단 한 번 던진다."

유래와 배경

이 고사성어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등장하는 중국 초한지 시대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초나라의 명장 항우(項羽)는 한고조 유방(劉邦)과 천하를 두고 다투다가, 해하(垓下)의 전투에서 패하게 된다. 이때 항우는 더 이상 후퇴하거나 재기를 노릴 수 없는 상황에서 마지막 전투에 임하게 된다.

 

사면초가(四面楚歌)의 곤경 속에서, 항우는 모든 운명을 걸고 마지막 결전을 벌이지만 결국 패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후 후세 사람들은 그의 최후의 결전을 "건곤일척"이라 표현하며, 마치 하늘과 땅, 곧 전 우주를 건 단 한 번의 승부처럼 묘사하였다.

이러한 유래는 단순히 전쟁이 아닌 인생의 중대 갈림길에서도 '건곤일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되는 철학적, 운명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인생의 배수진, 되돌릴 수 없는 선택

건곤일척은 현대 사회에서 중대한 사업의 투자, 중요한 시험이나 프로젝트, 혹은 이직과 같은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쓰인다. 모든 자원과 에너지를 한 곳에 집중하고, 그 결과에 승부를 거는 방식이다.

예:

  • "이번 선거는 나에게 건곤일척의 싸움이다."
  • "모든 자금을 하나의 사업에 쏟아부었다. 이건 건곤일척의 도전이었다."

2. 전략적 결단

비즈니스나 정치에서의 건곤일척은 단순한 무모함이 아닌, 신중히 계산된 전략적 결단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수많은 시뮬레이션과 분석 후, 마지막 한 수를 던지는 선택 말이다.

예:

  • 한 기업이 신제품을 전면에 내세워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전략.
  • 선거에서 모든 자원을 집중해 특정 지역에 올인하는 전략적 배팅.

3. 문학적/예술적 표현

작가나 예술가들이 마지막 작품 혹은 전 생애를 건 프로젝트에서 이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그들에게 있어 이는 생애 마지막 도약이자, 자기 존재를 증명하는 마지막 승부다.

영어 표현과 해석

  • Throw the dice for everything – 모든 것을 걸고 주사위를 던지다
  • Make or break – 성패가 달린, 승패를 좌우하는
  • All or nothing – 전부를 얻거나, 전부를 잃거나
  • Sink or swim – 죽느냐 사느냐

관련 속담 및 표현

  • 배수진(背水陣): 물을 등지고 진을 치다. 물러날 수 없는 각오로 싸우는 자세
  • 사즉생 생즉사(死卽生 生卽死): 죽으려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를 잡는다: 위험을 감수해야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음
  • 올인하다: 전부를 걸다 (포커 등의 도박 용어에서 유래)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배수지진(背水之陣): 퇴로를 끊고 결사적으로 싸우는 자세
  • 일도양단(一刀兩斷): 단칼에 결단을 내리는 결정력
  • 와신상담(臥薪嘗膽): 치욕을 견디며 때를 기다림
  • 결자해지(結者解之): 일을 시작한 사람이 책임지고 해결함

반대 개념

  • 소극적 대응: 위기를 회피하거나 미루는 방식
  • 안분지족(安分知足): 자기 분수에 만족하고 안정을 택하는 자세
  • 우유부단(優柔不斷): 결단력 없이 미루는 태도
  • 기회주의적 태도: 항상 유리한 쪽으로 입장을 바꾸는 전략

활용 예문

  • "건곤일척의 결단이었다. 이 사업이 성공하지 않으면 회사는 무너진다."
  • "그는 건곤일척의 각오로 수능에 모든 것을 걸었다."
  • "이 영화는 감독의 건곤일척과도 같은 작품이었다. 제작비와 명예,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 "주사위는 이미 던져졌다. 이제는 건곤일척의 싸움뿐이다."
  • "이번 선거는 야당에게 건곤일척의 승부였다. 이기지 못하면 존재의 이유가 사라진다."

철학적 해석과 가치

1. 숙명적 결단과 인간의 자유의지

건곤일척은 인간이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와 조건 속에서도 마지막 선택권을 행사하는 자유의지의 상징이기도 하다. 외부 조건이 아무리 절망적이더라도, 마지막 한 번의 주사위는 스스로 던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 존재의 존엄성을 반영한다.

2. 위험 감수와 윤리

모든 것을 걸고 승부하는 방식은 윤리적 문제도 내포한다. 그 과정에서 주변인의 희생, 공동체의 위험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건곤일척'은 개인적 결단을 넘어, 그 파장이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3. 운과 실력의 경계

주사위는 운을 상징하지만, 건곤일척이란 표현은 단순한 운에 의존하지 않는다. 철저한 준비와 실력, 전략을 바탕으로 마지막 '운의 변수'에 기대는 구조다. 그렇기에 이는 냉정한 계산과 치밀한 준비를 전제하는 말이기도 하다.

결론

乾坤一擲(건곤일척)은 단순히 모험적 승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마지막 순간에 내리는 결단의 상징이다. 그것은 때로는 절망의 벼랑 끝에서, 때로는 절호의 기회를 앞에 두고, 그리고 때로는 삶 전체를 걸고 내리는 승부수다. 이 말은 우리에게 묻는다. "지금 이 순간, 너는 무엇을 걸 수 있는가?"

진정한 건곤일척은 단지 배팅이 아닌, 생을 걸고 던지는 가치와 철학의 문제다.

"한 번 던진 주사위는 되돌릴 수 없다. 그러나 던질 것인가 아닌가는, 바로 나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