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립무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9. 2.

孤立無援(고립무원)
“孤(고): 외롭다, 홀로”
“立(립): 서다, 서 있다”
“無(무): 없다”
“援(원): 도움, 원조”

라는 글자 그대로, “외롭게 서서 도와줄 사람이 전혀 없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어려움에 처했지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하는 절망적인 상황을 표현할 때 쓰인다.

고립무원의 뜻과 유래

고립무원의 정의

고립무원은 사방이 막혀 의지할 곳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 의미
    • 외롭고 의지할 곳이 없는 상태.
    • 도움을 청할 이가 전혀 없는 곤궁한 상황.
    • 사회적·정치적·군사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처지.
  • 사용 맥락
    • 전쟁터에서 지원군이 없는 고립된 군사.
    •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어 홀로 남겨진 사람.
    • 정치나 조직 내에서 완전히 고립된 지도자나 집단.

고립무원의 유래

고립무원은 고대 중국 병법이나 역사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 『사기(史記)』와 『한서(漢書)』 등 고전 속에서 원군의 지원을 받지 못해 포위망 속에 갇힌 장수의 처지를 묘사할 때 쓰였다.
  • 군사적 의미에서 출발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정치적, 사회적, 심리적 상황에서도 비유적으로 활용되었다.
  • 특히 진퇴양난 속에서도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절망적인 형세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고립무원의 현대적 의미

사회적 관계 속의 고립

  • 인간관계 단절
    • SNS와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대에도 진정한 관계 부재 속에 고립무원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 예: "그는 친구도 가족도 잃고 고립무원의 처지에 놓였다."
  • 조직 내 소외
    • 회사나 정치 조직에서 지지 기반을 잃으면 의사결정권자가 혼자 남아 무력해지는 상황을 의미하기도 한다.
    • 예: "리더십 위기를 맞은 그는 결국 고립무원에 빠졌다."

국제 관계에서의 고립

  • 외교적 고립
    • 국제 정치에서 동맹국이나 우방이 사라져 한 나라가 외롭게 남겨진 상태를 가리킨다.
    • 예: "제재 이후 그는 국제 사회에서 고립무원이 되었다."
  • 군사적 상황
    • 현대 전쟁에서도 병력이 포위되어 지원을 받지 못하면 고립무원이라는 표현이 그대로 쓰인다.
    • 예: "전진하던 부대가 포위되며 고립무원이 되었다."

심리적, 개인적 차원에서의 고립

  • 정신적 외로움
    • 가족, 친구, 동료와 단절된 채 내면의 외로움 속에서 고립무원처럼 느끼는 심리적 상태도 포함된다.
    • 예: "삶의 무게에 짓눌린 그는 마음속에서도 고립무원이었다."
  • 도움 없는 절망의 순간
    • 병상에서, 재난 속에서, 혹은 위기의 순간 누구에게도 도움을 청하지 못하는 상황은 인간 실존의 근원적 고독을 드러낸다.

고립무원의 교훈

  •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
    • 고립무원은 혼자의 힘만으로는 버티기 어려운 인간 현실을 일깨운다.
  • 관계 맺기의 가치
    • 평소 인간관계와 신뢰를 쌓는 것이 위기 상황에서 고립무원을 피하는 방패가 된다.
  • 도움을 요청하는 용기
    • 스스로 해결하려다 무너지는 대신, 타인의 도움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 사회적 안전망의 필요
    • 국가와 사회는 개인이 고립무원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와 공동체적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고립무원의 유사어

  • 孤軍奮鬪(고군분투) – 홀로 외롭게 싸움.
  • 進退維谷(진퇴유곡) – 나아가도 물러나도 곤란한 상황.
  • 四面楚歌(사면초가) – 사방에서 적의 노래가 들려 외롭고 위태로운 처지.
  • 無依無靠(무의무고) – 의지할 곳이 전혀 없음.

고립무원의 활용 예문

  • "아무도 그의 편을 들어주지 않아 고립무원에 빠졌다."
  • "전투에서 고립무원이 된 장수는 끝내 항복하고 말았다."
  • "조직의 지지를 잃으면 지도자는 쉽게 고립무원 신세가 된다."
  • "삶의 위기 속에서 고립무원이라 느낄 때, 작은 도움의 손길이 구원이 된다."

영어 표현

  • Left in the lurch – 곤경에 버려진 상태.
  • Isolated with no support – 지원 없이 고립된 상태.
  • Cut off with no aid – 도움 없이 차단된 상황.
  • On one’s own with no help – 홀로 남겨져 아무 도움도 없는 상태.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의지했던 곳에서 배신당해 고립됨.
  • 사람이 사람을 먹여 살린다 – 혼자서는 살 수 없음을 강조.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협력이 필요하다는 교훈.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원군도착(援軍到着) – 원군이 도착해 고립에서 벗어남.
  • 구원도래(救援到來) – 도움의 손길이 찾아옴.
  • 상부상조(相扶相助) – 서로 도와 어려움을 이겨냄.
  • 연대(連帶) – 함께 힘을 모아 위기에 대응함.

결론

고립무원은 어려움 속에서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한 채 외롭게 남겨진 상황을 나타내는 성어다. 단순히 군사적 표현을 넘어,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 정치, 외교, 심리적 차원에서도 널리 쓰인다. 이는 곧 인간이 혼자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 그리고 연대와 협력이 삶의 본질적 조건임을 일깨우는 교훈적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