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복격양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9. 10.

鼓腹擊壤(고복격양)
"鼓(고): 북을 두드리다", "腹(복): 배", "擊(격): 치다", "壤(양): 땅"
이라는 글자 그대로, "배를 두드리며 땅을 치며 노래한다"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 이는 태평성대(太平聖代), 곧 세상이 평화롭고 백성들이 근심 없이 살아가는 이상적인 시대를 상징하는 표현이다.

고복격양의 뜻과 유래

고복격양의 정의

고복격양은 백성들이 풍요와 평안을 누리며 걱정 없이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말이다.

  • 의미
    • 먹고 살기에 부족함이 없어 태평하게 지내는 상태.
    • 정치가 안정되고 사회가 평화로운 이상적인 세상.
    • 백성이 근심 없이 살아가는 행복한 삶의 상징.
  • 사용 맥락
    • 태평성대를 묘사할 때.
    • 유토피아적 이상 사회를 비유할 때.
    • 성군(聖君)의 치세를 칭송하는 문맥에서 자주 쓰임.

고복격양의 유래

고복격양은 중국 요순시대(堯舜時代)의 전설에서 비롯되었다.

  • 『太平御覽』 등에 따르면, 요임금 시대 백성들은 정치가 공평하고 삶이 풍족하여 배불리 먹은 뒤 배를 두드리며 땅을 치면서 노래했다고 한다.
  • 이는 백성들이 나라의 정치에 불만이 없고, 자연의 질서와 조화롭게 살아가는 태평성대의 상징적 장면이다.
  • 중국 고대 문헌에서 "고복격양"은 이상향(理想鄕)의 모습, 곧 백성이 나라의 은혜를 입고 평화롭게 사는 세상을 그린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고복격양의 현대적 의미

이상 사회의 비유

  • 정치적 이상
    • 정치가 안정되고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를 걱정하지 않는 상태를 묘사한다.
    • 예: "국민이 고복격양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정치의 목표다."
  • 풍요로운 삶의 상징
    • 물질적 풍요뿐 아니라 정신적 만족까지 누리는 사회를 의미한다.

현실과 대비되는 풍자

  • 현실 정치 비판
    • 이상은 고복격양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할 때 풍자적 표현으로 쓰인다.
    • 예: "지도자들은 고복격양의 세상을 약속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고복격양의 교훈

  • 민생(民生)의 안정을 우선해야 한다
    • 태평성대의 기준은 화려한 치적이 아니라 백성의 삶이 평안한가에 달려 있다.
  • 정치의 본질은 백성의 행복에 있다
    • 군주의 덕과 정치는 백성이 근심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빛난다.

고복격양의 유사어

  • 太平聖代(태평성대)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안락한 시대.
  • 昇平世(승평세) – 정치가 안정되고 백성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세상.
  • 康衢煙月(강구연월) – 태평한 시절, 평화로운 거리를 비유하는 말.

고복격양의 활용 예문

  • "옛 성군의 치세는 백성이 고복격양하며 살아가는 태평성대였다."
  • "모든 국민이 고복격양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이상적인 정치다."
  • "고복격양은 단순한 고사성어가 아니라, 인간 사회가 추구해야 할 이상향이다."

영어 표현

  • An age of peace and prosperity – 평화와 번영의 시대
  • Living in contentment – 만족하며 살아감
  • A golden age – 황금기, 태평성대
  • Utopian life – 이상적 삶, 유토피아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배부르고 등 따뜻하면 근심이 없다 – 먹고 살기에 넉넉하면 행복하다는 뜻.
  • 의식주가 해결되면 노래가 나온다 – 기본적인 삶이 안정되면 즐거움이 따른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民不聊生(민불요생) – 백성이 살 길이 막혀 고통받는 상황.
  •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흙과 숯불에 빠진 듯한 극심한 고통.
  • 饑寒交迫(기한교박) – 굶주림과 추위가 동시에 닥쳐 괴로운 상태.

결론

고복격양은 배를 두드리며 땅을 치며 노래할 정도로 태평하고 풍요로운 삶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 이는 단순한 풍족함을 넘어, 정치와 사회가 안정되고 백성이 근심 없이 살아가는 이상 세계를 상징한다. 현대 사회에서도 고복격양은 국가와 지도자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 목표로, 우리에게 민생 안정과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훈적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