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미속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9.

狗尾續貂(구미속초)
“狗(구): 개”, “尾(미): 꼬리”, “續(속): 잇다”, “貂(초): 담비”라는 뜻으로,
‘개 꼬리를 담비의 꼬리에 이어 붙인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다.
즉, 앞부분은 훌륭하지만 뒷부분이 초라하게 이어지는 경우, 또는 좋은 일의 뒤를 좋지 않은 일이 잇는 상황을 비유한다.

구미속초의 뜻과 유래

구미속초의 정의

구미속초는 처음은 훌륭하지만 끝이 초라하거나 어울리지 않게 망가진 일의 흐름을 비유하는 말이다.

  • 의미
    • 훌륭한 것 뒤에 하찮은 것이 이어져 품격이 떨어지는 일.
    • 좋은 시작에 비해 결과가 실망스러운 경우.
    • 앞뒤의 조화가 깨진 상태나 격이 맞지 않는 조합.
  • 사용 맥락
    • 작품의 앞부분은 뛰어나지만 결말이 허술할 때.
    • 인사나 정책에서 훌륭한 사람 뒤에 무능한 인물이 이어질 때.
    • 연설이나 글의 초반은 웅장하지만 후반이 부실할 때.

구미속초의 유래

이 고사성어는 중국 진(晉)나라 혜제(惠帝) 때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그 당시 황제의 복장에는 담비 꼬리(貂尾)로 장식된 모자가 관직의 높은 신분을 상징했다.
그러나 전란이 일어나자 나라의 인재가 줄고, 대신들을 채울 인물이 부족했다.
결국 관리들의 수가 많아져 담비 꼬리가 모자라자 개 꼬리를 대신 이어 붙였다고 한다.
이때 사람들은 이를 보고 “狗尾續貂(구미속초)”, 즉 개 꼬리를 담비 꼬리에 잇는 꼴이라며 비웃었다.
이후 이 말은 앞은 훌륭하지만 뒤는 형편없는 일을 상징하게 되었다.

구미속초의 현대적 의미

작품이나 일의 완성도에 대한 비유

  • 처음은 장대하고 후반은 실망스러운 구성
    • 예: “그 영화는 초반은 명작이었지만, 결말은 구미속초였다.”
  • 좋은 계획이 나쁜 실행으로 이어진 경우
    • 예: “정책은 좋았지만 실행 과정이 엉망이 되어 구미속초가 되었다.”

인사나 정치적 상황에서의 의미

  • 유능한 인물이 떠나고 무능한 자가 자리를 잇는 경우
    • 예: “그 장관의 후임은 구미속초라는 평을 듣고 있다.”
  • 조직 내 세대 교체 실패나 인물난을 풍자할 때
    • 예: “리더 교체 후 조직 분위기가 급격히 무너진 것은 구미속초의 전형이다.”

일상적 쓰임

  • 멋진 발표의 끝이 허술할 때
    • 예: “준비를 많이 했지만 마지막이 허술해 구미속초로 끝났다.”
  • 행사의 마무리가 초라할 때
    • 예: “개막식은 화려했으나 폐막식은 구미속초였다.”

구미속초의 교훈

  • 시작보다 중요한 것은 끝이다
    • 아무리 훌륭한 출발이라도 마무리가 부실하면 전체의 가치가 떨어진다.
  • 균형과 조화가 완성도를 만든다
    • 처음과 끝, 겉과 속이 어우러질 때 진정한 완성이라 할 수 있다.
  • 지속적인 품격이 진짜 실력이다
    • 순간의 화려함보다 꾸준한 완성도가 중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구미속초의 유사어

  • 畫蛇添足(화사첨족) – 뱀을 그려 놓고 다리를 덧붙이다. 불필요한 행동으로 완성을 망침.
  • 首善末流(수선말류) – 처음은 좋았으나 끝으로 갈수록 나빠짐.
  • 前倨後恭(전거후공) – 처음에는 거만하다가 나중에는 공손함. 태도의 불일치 비유.
  • 金玉其外敗絮其中(금옥기외패서기중) – 겉은 화려하나 속은 썩은 상태.

구미속초의 활용 예문

  • “처음엔 훌륭했는데 끝이 흐지부지해 구미속초로 끝났다.”
  • “전작에 비해 후속작은 완성도가 떨어져 구미속초라는 평가를 받았다.”
  • “새로 임명된 관리들의 수준이 형편없어 구미속초라는 말이 나왔다.”
  • “멋진 계획도 실행이 부실하면 구미속초가 되기 쉽다.”

영어 표현

  • A bad ending spoils the whole work – 나쁜 결말이 전체를 망친다.
  • An anticlimax – 기대를 꺾는 실망스러운 결말.
  • From hero to zero – 훌륭한 시작에서 초라한 끝으로.
  • The tail wags the dog – 하찮은 것이 중요한 것을 지배하는 상황.
  • Good beginning, poor ending – 시작은 좋으나 끝이 나쁘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

  • 시작이 반이라지만 끝이 전부다 – 끝맺음을 잘해야 진짜 성공이다.
  • 호랑이 꼬리보다 여우 머리가 낫다 – 어울리지 않는 높은 지위보다 조화로운 위치가 낫다.
  • 끝이 좋으면 다 좋다 – 마지막의 완성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 앞은 멀쩡, 뒤는 엉망 – 마무리가 엉성한 일.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有終之美(유종지미) – 일을 끝까지 잘 마무리하여 아름다운 결말을 맺음.
  • 始終一貫(시종일관) –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태도나 품격을 유지함.
  • 完璧無缺(완벽무결) – 흠잡을 데 없는 완전한 상태.
  • 收尾完好(수미완호) – 처음과 끝이 모두 완전함.

결론

구미속초는 훌륭한 시작 뒤에 부실한 결말이 뒤따르는 상황을 풍자한 사자성어다.
이는 처음의 화려함에 안주하지 말고 끝까지 품격과 완성도를 유지하라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
모든 일은 시작보다 마무리가 중요하며, 끝까지 책임을 다하는 태도가 진정한 실력임을 일깨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