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권모술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0. 4.

權謀術數(권모술수)
“權(권): 권세, 권력”
“謀(모): 꾀하다, 계략”
“術(술): 방법, 기술”
“數(수): 꾀, 간계”

라는 글자가 합쳐진 말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온갖 꾀와 방법을 동원하는 술책을 뜻한다. 보통 긍정적인 전략이나 지혜보다는 부정적인 간계와 책략을 가리키며, 권력 다툼이나 정치적 술수의 맥락에서 자주 쓰인다.

권모술수의 뜻과 정의

권모술수의 정의

권모술수는 상대방을 속이거나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온갖 책략을 의미한다. 단순한 꾀가 아니라, 계산된 음모와 술책을 내포한다.

  • 의미
    • 권력이나 이익을 위해 계략과 간계를 꾸미는 일.
    •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는 술책.
    • 정치, 권력 다툼, 이권 쟁탈전에서 흔히 등장하는 책략.
  • 사용 맥락
    • 정치인의 권력 투쟁에서 상대를 몰락시키기 위한 음모.
    • 회사에서 승진이나 이권을 위해 꾸미는 비열한 전략.
    • 인간관계에서 상대를 조종하려는 술책.

권모술수의 유래와 역사적 배경

권모술수라는 말은 주로 중국의 정치사와 병법서에서 비롯되었다.

  • 춘추전국 시대 – 제후들이 패권을 다투는 과정에서 온갖 술책이 난무하였고, 그 과정에서 권모술수라는 표현이 관용어처럼 쓰이게 되었다.
  • 『한비자(韓非子)』, 『손자병법(孫子兵法)』 등에서도 권모와 술수는 통치와 전쟁에서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다만, 이때의 "권모"는 지혜로운 책략일 수도 있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부정적인 의미가 강해졌다.
  • 역사적으로는 진시황을 도운 이사의 술책, 삼국지에서 조조가 썼던 계략 등이 권모술수의 대표적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또한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 속에서도 권모술수는 빈번히 등장했다. 고려 말 신진사대부와 구세력의 대립, 조선 시대 붕당 정치의 이면에는 언제나 권모술수가 숨어 있었다. 겉으로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그 속에는 권력 유지를 위한 철저한 계산과 술책이 작동했던 것이다.

권모술수의 현대적 의미

정치와 사회 속의 권모술수

  • 정치권
    • 선거에서 상대를 흠집 내거나 허위 정보로 공격하는 행위.
    • 권력을 지키기 위해 비밀리에 꾸미는 음모.
  • 기업 사회
    • 인사 관리에서 특정인을 몰아내기 위한 이간계.
    • 경쟁사를 몰락시키기 위한 음해나 비밀 작전.

인간관계 속의 권모술수

  • 친구나 동료를 속여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는 교묘한 계략.
  • 겉으로는 친절한 듯하지만 뒤에서는 헐뜯고 모함하는 언행.
  • 조직 내에서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동료를 희생양 삼는 행위.

권모술수는 단순히 정치나 기업에서만이 아니라, 일상 속 소소한 관계에도 스며들어 있다. 작은 이익을 위해 교묘히 말을 바꾸거나,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는 행동 역시 일종의 권모술수라 할 수 있다.

권모술수의 교훈

  • 지혜와 술수는 다르다
    • 정당한 책략은 전략이지만, 권모술수는 비열한 꾀다.
  • 일시적 이득은 얻을 수 있으나, 신뢰는 잃는다
    • 권모술수는 순간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관계와 명성을 해친다.
  • 투명한 소통과 정정당당함이 오래간다
    • 권모술수 대신 신뢰와 협력의 방법이 결국 승리를 이끈다.
  • 인간 사회의 본질을 비추는 거울
    • 권모술수의 존재는 인간이 권력과 이익 앞에서 얼마나 쉽게 도덕을 버리는지를 보여준다. 동시에 그것을 경계해야 함을 일깨운다.

권모술수의 유사어

  • 權謀(권모) – 권세를 잡기 위한 계책.
  • 詭計(궤계) – 속임수와 간계.
  • 奸計(간계) – 간사한 꾀.
  • 陰謀(음모) – 남몰래 꾸미는 계략.
  • 詐術(사술) – 남을 속이는 술법.

권모술수의 활용 예문

  • "정치권은 권모술수로 가득 차 있어 신뢰를 잃기 쉽다."
  • "그는 늘 권모술수로 승진했지만 동료들의 존경은 얻지 못했다."
  • "권모술수는 단기적 승리를 줄지 모르나, 결국 자신을 해치게 된다."
  • "조직 사회에서 권모술수로 올라간 자리는 오래 유지되지 않는다."
  • "권모술수를 쓰는 사람은 언젠가 그 술책에 스스로 걸려든다."

영어 표현

  • Machiavellian tactics – 마키아벨리식 권모술수
  • Political maneuvering – 정치적 책략
  • Scheming and intrigue – 음모와 계략
  • Devious tactics – 비열한 술책
  • Cunning stratagems – 교활한 계략

비슷한 의미의 속담

  • 꾀 많은 놈이 꾀에 넘어진다 – 술책을 부리다 스스로 망한다는 뜻.
  •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 작은 술책과 간계가 큰 범죄로 이어진다.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가까운 이의 권모술수에 당한다는 비유.
  •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 작은 권모술수가 큰 화를 부를 수 있음.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정정당당(正正堂堂) – 바르고 당당하게 승부함.
  • 대의명분(大義名分) – 정의롭고 명분 있는 행동.
  • 광명정대(光明正大) – 밝고 올바른 도리를 따름.
  • 성심성의(誠心誠意) – 진심과 성의를 다하는 태도.

결론

권모술수는 권력과 이익을 위해 온갖 책략을 꾸미는 행위로, 인간 사회와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 온 모습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기적인 성공은 줄 수 있어도, 신뢰와 도덕적 가치는 잃게 만드는 양날의 검이다.

역사와 현실은 우리에게 말해준다. 권모술수는 언제나 존재하지만, 결국 승리하는 것은 명분과 정정당당함을 지닌 자라는 것을. 따라서 우리는 권모술수의 유혹을 경계하고, 정당한 전략과 투명한 소통을 통해 장기적인 신뢰와 승리를 추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