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科玉條(금과옥조)는
“金(금): 금”, “科(과): 법”, “玉(옥): 옥”, “條(조): 조항”이라는 글자 그대로,
“금과 옥처럼 귀하고 지켜야 할 법이나 조항”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즉,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법규나 신념, 혹은 삶의 원칙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금과옥조의 뜻과 유래
금과옥조의 정의
금과옥조는 매우 귀중하게 여기며 반드시 지켜야 할 규범이나 원칙을 의미한다.
그것은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삶의 근본이 되는 불변의 가치로 여겨진다.
- 의미
- 금(金)처럼 단단하고, 옥(玉)처럼 고귀한 조항.
- 변하지 않고 반드시 따라야 할 절대적 기준.
-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신념이나 원칙.
- 사용 맥락
- 법이나 규칙을 철저히 지켜야 할 때.
- 조직이나 사회에서 중요한 원칙을 강조할 때.
- 자신의 철학적 신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금과옥조의 유래
이 표현은 중국 한(漢)나라 시절부터 쓰이던 말로,
“법률과 규정은 금과 옥처럼 귀히 여겨야 한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
『한서(漢書)』와 같은 고전 문헌에서는
“國之法令은 金科玉條也(나라의 법령은 금과옥조와 같다)”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이는 국가의 법을 아무도 어길 수 없는 절대적 규범으로 비유한 것이다.
이후 이 표현은 단지 법률뿐 아니라,
사람이 마음속에 지녀야 할 윤리와 신념, 인생의 기준을 가리키는 말로 확장되었다.
금과옥조의 현대적 의미
1. 절대적 원칙의 상징
현대 사회에서도 금과옥조는 변하지 않는 가치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 예: “정직은 그 회사의 금과옥조였다.”
- 예: “그의 인생 금과옥조는 ‘거짓말하지 말라’였다.”
2. 조직 문화나 국가 이념의 핵심
- 기업의 윤리강령, 헌법 조항, 신조 등은 금과옥조로 여겨진다.
- 예: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금과옥조이다.”
3. 비판적 사용
때로는 너무 융통성 없이 원칙만 고집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도 쓰인다.
- 예: “그는 규칙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느라 현실을 보지 못한다.”
금과옥조의 교훈
- 원칙이 없는 자유는 방종이다.
금과옥조는 인간의 도리와 사회 질서를 지키는 근간이다. - 그러나 원칙은 유연함과 함께 살아야 한다.
금과옥조를 지나치게 절대화하면 융통성의 결여로 이어질 수 있다.
결국 금과옥조는 지켜야 할 기준과 바꿔야 할 현실 사이의 균형을 일깨운다.
금과옥조의 유사어
| 한자 | 발음 | 뜻 |
|---|---|---|
| 鐵則 (철칙) | 철칙 | 반드시 지켜야 할 굳은 규칙 |
| 不易之法 (불역지법) | 불역지법 | 바뀔 수 없는 법칙 |
| 定石 (정석) | 정석 | 변함없는 규범이나 원리 |
| 金言 (금언) | 금언 | 귀중한 가르침이나 교훈의 말 |
금과옥조의 활용 예문
- “그의 삶의 금과옥조는 언제나 성실과 진실이었다.”
- “헌법은 국민 모두가 지켜야 할 금과옥조다.”
- “금과옥조를 어긴다면 그 조직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
- “그는 선배의 조언을 금과옥조처럼 가슴에 새겼다.”
영어 표현
- Golden rule – 황금률, 가장 중요한 원칙
- Sacred law – 신성불가침의 법
- Iron law – 철칙, 불변의 규정
- Cardinal principle – 근본적인 원리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법은 지켜야 나라가 선다 – 원칙이 사회의 근본이라는 뜻.
- 약속은 돌보다 무겁다 – 신념이나 규칙을 가볍게 어기지 말라는 말.
- 한 번 한 말은 돌이킬 수 없다 – 말과 원칙의 무게를 강조.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한자 | 발음 | 뜻 |
|---|---|---|
| 朝令暮改 (조령모개) | 조령모개 | 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고친다 — 원칙이 자주 바뀜 |
| 無原則 (무원칙) | 무원칙 | 일관된 기준이 없음 |
| 優柔不斷 (우유부단) | 우유부단 | 결단력과 확고한 기준이 없음 |
| 隨波逐流 (수파축류) | 수파축류 | 원칙 없이 유행이나 세상에 따라감 |
결론
금과옥조(金科玉條)는 단순한 법이나 규정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가 지켜야 할 불변의 진리와 신념의 상징이다.
그것은 삶의 중심을 잡아주는 나침반이자, 혼란한 시대의 기준점이다.
그러나 진정한 금과옥조는 고집이 아니라 신념에서, 강요가 아니라 자각에서 비롯된다.
세상이 변해도 흔들리지 않는 원칙, 그것이 바로 금과옥조의 참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