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난득호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16.

難得糊塗(난득호도)"難(난): 어렵다", "得(득): 얻다", "糊(호): 흐리다", "塗(도): 어리석다"라는 글자 그대로, "어리석음을 얻기 어렵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현명함과 어리석음의 경계에서 때로는 모르는 척, 혹은 흐리게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지혜로운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

난득호도의 뜻과 유래

난득호도의 정의

난득호도는 일상에서 지나치게 모든 것을 명확히 하려 하기보다, 때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척하거나 흐리게 넘어가는 것이 현명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 의미
    • 알면서도 일부러 흐리게 행동하는 지혜.
    • 때로는 모든 것을 정확히 따지지 않고 관용과 여유를 갖는 태도.
    • 지나친 고집이나 명확함이 오히려 문제를 만들 수 있다는 교훈.
  • 사용 맥락
    • 직장, 가정, 인간관계에서 불필요한 논쟁을 피할 때.
    • 상대방의 실수를 지적하지 않고 넘어갈 때.
    • 사회적 상황에서 눈치를 보고 상황을 유연하게 처리할 때.

난득호도의 유래

난득호도는 청나라의 명재상 옹정제 시대 문헌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 전해지는 일화 중 하나는, 한 관리가 상관에게 불리한 사실을 지적하지 않고 일부러 모른 척한 덕에 큰 화를 면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 『옥설(玉説)』과 『중국고사집』에서는, 지혜로운 사람일수록 모든 사안을 분명히 밝히기보다, 때로는 흐림과 모호함 속에 더 큰 이익과 평화를 얻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 중국 철학에서는 도가적 사상과 연계, 즉 무위(無爲)와 유연한 사고의 실천과 연결되어 이해되기도 한다.

난득호도의 현대적 의미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서의 난득호도

  •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는 전략
    • 모든 사실을 바로잡으려 하기보다, 때로는 흐리게 넘기고 관용을 베푸는 것이 효율적.
    • 예: "회의에서 사소한 실수는 난득호도로 넘어가고 핵심 논점에 집중했다."
  • 지혜로운 눈치와 상황 판단
    •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며, 불필요한 논쟁을 피하는 태도.
    • 예: "난득호도의 마음으로 동료의 작은 잘못을 지적하지 않았다."

심리적, 인지적 관점

  • 자기 통제와 감정 관리
    • 모든 일을 분명히 밝히려는 집착을 내려놓음으로써, 스트레스와 불필요한 갈등을 줄인다.
    • 예: "그는 난득호도를 실천하며 스트레스 관리에 성공했다."
  • 포용과 이해의 지혜
    • 상대의 부족함이나 실수를 받아들이는 관용적 태도.
    • 예: "아이의 실수를 난득호도로 넘어가며 가르침을 이어갔다."

난득호도의 교훈

  • 지혜는 모든 것을 아는 데서만 오는 것이 아니다
    • 때로는 모르는 척, 흐리게 행동하는 것이 더 큰 평화와 효율을 가져온다.
  • 유연성과 관용이 인간관계의 핵심
    • 지나치게 분명하게 하려는 태도보다 상황을 읽고 조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난득호도의 유사어

  • 聰明反被聰明誤(총명반피총명오) – 너무 영리하면 오히려 일을 그르친다.
  • 以退為進(이퇴위진) – 물러남으로써 나아감, 전략적 후퇴.
  • 糊塗智慧(호도지혜) – 어리석음 속의 지혜, 난득호도와 의미가 유사.

난득호도의 활용 예문

  • "상황이 복잡할 때는 난득호도로 넘어가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
  • "동료의 작은 실수는 난득호도로 받아주고 팀워크를 살렸다."
  • "난득호도를 알면 불필요한 다툼을 줄이고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만들 수 있다."

영어 표현

  • Wisdom in feigned ignorance – 모르는 척하는 지혜
  • Strategic blindness – 전략적 무지
  • Turning a blind eye – 못 본 척하다
  • Tolerant ignorance – 관용의 무지
  • Knowing folly – 알고서도 어리석음을 선택함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눈 가리고 아웅 – 겉으로는 못 본 척 하지만 상황을 안다는 의미
  • 쇠귀에 경 읽기 – 모든 걸 바로잡으려 해도 소용없는 경우
  • 가만히 있는 게 약이다 – 무리하게 나서지 않고 조용히 있는 것이 현명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철저한 명확성(徹底明確) – 모든 것을 분명히 하고 정확히 처리함
  • 직설적 대응(直言敢諫) – 돌려 말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 말함
  • 문답일치(問答一致) – 질문과 답변이 완벽하게 일치함
  • 엄격한 원칙주의 – 관용 없이 규칙과 원칙을 철저히 지킴

결론

난득호도는 모르는 척하거나 흐리게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현명할 수 있다는 삶의 지혜를 담은 고사성어다. 이는 단순한 무지나 회피가 아니라, 상황 판단과 인간관계의 균형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난득호도는 분명함만을 추구하는 태도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줄이고, 관용과 유연성을 실천하는 삶의 교훈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