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원결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13.

桃園結義(도원결의)
"桃(도): 복숭아나무", "園(원): 동산", "結(결): 맺다", "義(의): 의리"
즉, “복숭아동산에서 의형제를 맺다”라는 뜻으로, 진한 의리와 우정을 맹세한 결의(結義)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이는 삼국지(三國志)에서 유래된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가 도원에서 형제의 의를 맺으며 나라와 백성을 위해 함께 싸우기로 맹세한 데서 비롯되었다.

도원결의의 뜻과 유래

도원결의의 정의

도원결의는 피보다 진한 의리와 우정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생사를 함께 할 정도로 굳은 결의로 맺어진 우정을 뜻한다.

  • 의미
    • 서로 뜻이 맞는 사람들이 굳게 맺은 의형제의 관계.
    • 혈연보다 깊은 신의(信義)를 맹세하는 결연(結緣)의 상징.
    • 공동의 이상이나 목적을 위해 목숨을 함께 하기로 약속하는 행위.
  • 사용 맥락
    • 의리와 신뢰로 뭉친 친구나 동지 관계를 표현할 때.
    • 하나의 목표를 위해 굳게 협력하는 모습을 묘사할 때.
    • 삼국지의 주인공들처럼 생사고락을 함께 하는 결속을 강조할 때.

도원결의의 유래

도원결의는 중국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제1회에 등장한다.
한나라 말기(漢末)의 혼란한 시대, 천하는 어지럽고 백성들은 고통에 시달렸다. 이때 유비, 관우, 장비 세 사람은 서로의 뜻이 같음을 알고 복숭아꽃이 만발한 동산(桃園)에서 다음과 같은 맹세를 한다.

“비록 태어난 날은 다르지만, 죽는 날은 함께하리라. 충성으로 나라를 구하고, 의리로 백성을 구제하자.”
이 맹세를 통해 세 사람은 혈연이 아닌 의리로 맺어진 형제가 되었고, 그 결의의 정신은 이후 삼국지 전편을 관통하는 ‘의(義)’의 상징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도원결의는 단순한 우정이 아닌, 생사를 함께하는 불변의 의리를 의미한다.

도원결의의 현대적 의미

진정한 의리와 신의의 상징

  • 현대에서는 진심으로 서로를 신뢰하고 어려울 때 함께 하는 관계를 도원결의에 비유한다.
    • 예: “그들은 어린 시절부터 함께한 도원결의 같은 친구다.”
    • 예: “의리를 저버린 배신자는 도원결의의 정신과는 거리가 멀다.”

협력과 공동체 정신의 상징

  • 공동의 목표를 위해 뭉친 팀워크, 단체의 결속력 등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 예: “새 창업 멤버들은 도원결의하듯 하나로 뭉쳤다.”
    • 예: “그들의 팀워크는 마치 도원결의처럼 단단했다.”

도원결의의 교훈

  • 진정한 의리는 이해관계가 아니라 신뢰에서 비롯된다.
  • 위기 속에서 드러나는 것이 우정의 진정성이다.
  • 뜻이 맞는 사람들과의 결의는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된다.
    도원결의는 결국 ‘함께의 힘’을 일깨우는 이야기다. 혼자서는 불가능한 일을, 의리와 신의로 뭉친 사람들이 가능하게 만든다는 고전의 교훈이다.

도원결의의 유사어

  • 金蘭之交(금란지교) – 쇠처럼 굳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 刎頸之交(문경지교) – 목을 베어도 변치 않는 우정.
  • 管鮑之交(관포지교) – 관중과 포숙아의 변치 않는 우정.
  • 生死之交(생사지교) – 생사를 함께 하는 깊은 우정.

도원결의의 활용 예문

  •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는 도원결의로 뭉쳐 혼란의 시대를 헤쳐 나갔다.”
  • “그들의 우정은 단순한 친분이 아니라 도원결의와 같은 의리였다.”
  • “위기의 순간, 도원결의처럼 하나가 되어야 한다.”
  • “도원결의의 정신은 오늘날 협력과 신뢰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영어 표현

  • Sworn brotherhood – 의형제로 맺은 결의.
  • Brotherhood of loyalty – 의리로 맺어진 형제애.
  • Bond of comradeship – 동지애로 맺어진 결속.
  • Oath of brotherhood – 형제의 맹세.

비슷한 의미의 속담

  • 의리가 하늘을 덮는다 – 변치 않는 의리의 중요성을 강조.
  • 벗이 어려울 때 진정한 친구가 드러난다 – 위기 속에서 진정한 우정을 알 수 있음.
  • 믿음이 우정을 만든다 – 신뢰가 관계의 근본임을 말함.
  • 한 배를 탄 사람은 서로 도와야 한다 – 공동 운명의식을 상징.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배신(背信) – 믿음을 저버리는 행위.
  • 이간질(離間) – 사이를 갈라놓는 말이나 행동.
  • 불신(不信) –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태도.
  • 무의리(無義理) – 의리나 신의가 없는 행동.

결론

도원결의는 삼국지의 도원동맹에서 비롯된 ‘의리와 신의의 상징’이다.
이는 단순한 우정이 아니라, 목숨을 걸고 함께 싸우는 결속의 약속이다.
현대 사회에서도 도원결의는 신뢰, 협력, 우정, 공동체 정신의 대명사로 쓰이며, 인간 관계의 본질이 무엇인지 되묻게 하는 고전적 교훈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