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부위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4.

磨斧爲針(마부위침)“磨(마): 갈다”, “斧(부): 도끼”, “爲(위): ~이 되게 하다”, “針(침): 바늘”로 구성된 고사성어로,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끈기와 인내, 지속적인 노력으로 결국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마부위침의 뜻과 유래

마부위침의 정의

  • 본래 의미
    아무리 힘들고 불가능해 보여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목표를 이룰 수 있음
  • 사용 맥락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정진하는 자세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됨

마부위침의 유래

『태평광기(太平廣記)』에 따르면,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이 젊었을 때 글공부에 싫증을 느끼고 산으로 놀러 가다가, 한 노파가 큰 쇠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본다. 이백이 물으니 노파는 "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겠다"고 대답한다. 이 일화에 감동받은 이백은 그날부터 공부에 정진하여 대시인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부위침이란, 큰 쇠도끼도 갈면 바늘이 된다는 뜻이다.”

마부위침의 한자풀이

  • 磨(마) : 간다, 닳게 한다
  • 斧(부) : 도끼
  • 爲(위) : ~이 되다
  • 針(침) : 바늘

큰 쇠붙이라도 정성껏 갈면 바늘이 될 수 있다

마부위침의 현대적 의미

꾸준한 노력의 가치

  • 단기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인내와 지속적 노력이 더 중요함
  •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음

교육과 학습

  • 반복과 인내를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활용됨
  • 특히 청소년 교육, 자기계발 분야에서 자주 인용됨

사회적 메시지

  • 성취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되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
  • 불가능해 보여도 시도하고 지속하면 이룰 수 있다는 긍정적 사고 함양

마부위침의 영어 표현

  • Perseverance prevails – 인내는 결국 승리한다
  • Little strokes fell great oaks – 작은 도끼질이 큰 나무를 넘긴다
  • Constant dripping wears away the stone – 계속되는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마부위침과 관련된 속담

  • “낙숫물이 돌 뚫는다” – 작은 힘이라도 계속되면 큰 일을 이룬다
  • “돌을 꾸준히 닦으면 거울이 된다” – 계속 정진하면 완성을 이룰 수 있다
  •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 겸손과 함께 묵묵한 노력의 중요성 강조

마부위침의 반대말

  • 용두사미(龍頭蛇尾) – 처음은 거창하지만 끝이 흐지부지함
  • 작심삼일(作心三日) – 결심이 오래가지 못하고 쉽게 포기함
  • 반복지계(反覆之計) – 일관되지 못하고 자주 바뀌는 계획

마부위침의 유사어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인내와 끈기를 뜻함
  • 수적천석(水滴穿石) –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말로, 반복과 인내를 강조함
  • 불광불급(不狂不及) – 미치지 않으면 이르지 못한다는 말로 극한의 정진을 뜻함

마부위침의 활용 예문

  • “매일 조금씩 노력하다 보면 마부위침처럼 결국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그는 마부위침의 정신으로 10년 동안 연구에 몰두해 대단한 발명을 해냈다.”
  • “포기하고 싶을 때마다 마부위침의 고사를 떠올리면 다시 힘이 난다.”

결론

磨斧爲針(마부위침)은 거창한 능력보다 끊임없는 반복과 인내가 얼마나 위대한 성과를 낳을 수 있는지를 일깨운다.
오늘의 한 걸음이 먼 미래의 결실이 되며,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과 지속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