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시지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10.

晩時之歎(만시지탄)은 말 그대로 '때가 늦었음을 한탄함'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무언가를 하기에 너무 늦었음을 깨닫고 후회하거나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데 쓰이며, 주로 기회를 놓친 후의 회한, 행동이 늦어져 목적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 자주 인용된다.

한자 풀이

  • 晩(만): 늦을 만
  • 時(시): 때 시
  • 之(지): ~의 (지시 대명사)
  • 歎(탄): 탄식할 탄

⇒ “때늦음을 한탄함”이라는 뜻

유래와 배경

《진서(晉書)》〈유의전(劉毅傳)〉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유의(劉毅)는 진나라 말기 인물로, 조정의 부패와 무능을 지적하고 개혁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가 죽은 후 사람들은 그를 기리며 “유의의 말이 옳았으나 너무 늦게 받아들였다”고 말하며,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는 표현을 남기게 되었다. 이는 시대의 부름에 제때 응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것이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기회를 놓친 후의 후회

  • 중요한 선택의 순간에 결단을 미루다가 결국 기회를 놓친 상황에 자주 사용된다.
  • 예: “그때 그 제안을 받아들였더라면 지금쯤 상황이 달랐을 텐데… 만시지탄일 뿐이다.”

2. 정작 필요할 때 행동하지 못했을 때

  • 위기 상황에서 주저하거나 망설이다가, 정작 필요할 때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한 경우
  • 정치, 사회, 경영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됨

3. 사회적・정책적 후진성에 대한 반성

  • 어떤 사회적 이슈에 대해 너무 늦게 관심을 가지거나, 조치가 늦어 문제를 키웠을 때
  • 예: “기후 위기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는 국제사회의 만시지탄이 커지고 있다.”

영어 표현과 해석

  • Too little, too late – 너무 적고, 너무 늦은
  • Crying over spilt milk – 이미 지나간 일에 후회함
  • Missed the boat – 기회를 놓쳤다

관련 속담 및 표현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이미 벌어진 후 뒤늦게 대처함
  • 후회막급(後悔莫及): 아무리 후회해도 이미 늦은 상태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사후약방문(事後藥方文): 일이 끝난 후 약을 짓는다는 뜻으로, 시기를 놓쳐 쓸모없는 대처
  • 우후송산(雨後送傘): 비가 그친 뒤에야 우산을 가져다줌

반대 개념

  • 선견지명(先見之明): 일을 미리 내다보는 지혜
  • 호시우행(好時遇行): 좋은 시기에 행동하다

활용 예문

  • “취업 준비를 시작한 시기가 너무 늦어서, 지금은 만시지탄의 심정이다.”
  • “기술 투자에 더 일찍 나섰어야 했는데, 지금 와서 후회해도 만시지탄이다.”
  • “막상 건강이 나빠지고 나서야 운동을 시작하다니, 이 또한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철학적 성찰

‘만시지탄’은 단순한 후회의 표현을 넘어, 시간과 기회의 소중함에 대한 경고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며, 매 순간은 되돌릴 수 없는 흐름 속에 있다. 그렇기에 “언제나 지금이 가장 빠른 때”라는 말처럼, 후회를 줄이기 위해선 행동을 늦추지 않아야 한다.

또한, 만시지탄은 우리가 시간 관리와 우선순위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한다. 중요한 일을 ‘나중에’로 미루는 습관은 결국 더 큰 후회로 돌아온다. 지나간 시간은 다시 오지 않으며, 인생의 많은 일들은 제때 해야만 의미가 있다.

결론

晩時之歎(만시지탄)은 기회와 시간의 무게를 일깨우는 경구다. 이 성어는 단순한 아쉬움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최선으로 살아야 할 이유를 일러준다. 늦음에 대한 탄식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삶의 태도가 필요하다. 후회보다는 실천, 한탄보다는 각성이 우선이다.

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오늘 해야 할 일을 지금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