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8.

矛盾(모순)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창과 방패"라는 뜻이다. 서로 상반되는 주장이나 상황이 공존하여 논리적 충돌을 일으키는 현상을 지칭하며,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나 행동의 불일치를 비판할 때 사용된다. 오늘날에도 논리적 오류, 자기모순, 또는 현실과 이상 간의 괴리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널리 쓰인다.

한자 풀이

  • 矛(모): 창
  • 盾(순): 방패

=> 창과 방패라는 두 무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공격과 방어라는 상반된 속성이 충돌하는 것을 상징한다.

유래와 배경

모순의 어원은 『한비자(韓非子)』 난이(難二)편에 등장하는 다음 일화에서 유래한다.

옛날 초나라의 한 상인이 말했다.

“내 창은 어떠한 방패도 뚫을 수 있다.”
“그리고 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

이를 듣던 사람이 물었다.

“그렇다면 그 창으로 그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가?”

상인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이처럼 스스로 내세운 두 가지 주장이 서로 논리적으로 충돌하는 상황을 모순(矛盾)이라 부르게 되었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논리적 오류 혹은 자기 모순

  • 토론이나 글쓰기, 주장 내에서 일관성이 없는 주장을 비판할 때 사용
  • 철학, 윤리학, 수학 등에서 명제 간의 논리적 불일치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활용됨

2. 인간 심리 및 사회 문제에서의 내적 충돌

  • 인간이 갖는 욕망과 도덕,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를 설명할 때도 사용
  • 예: 환경을 걱정하지만 플라스틱을 소비하는 행동, 정의를 외치면서 편법을 행하는 정치인 등

3. 조직이나 정책에서의 구조적 갈등

  • 목표 간의 충돌, 정책의 비일관성, 원칙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지적하는 데에도 사용됨

영어 표현과 해석

  • Contradiction – 상반되는 주장이나 요소 간의 충돌
  • Self-contradiction – 자기 모순
  • Paradox – 겉보기에 모순되어 보이나, 깊이 생각해보면 의미가 있는 역설
  • You can’t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 – 두 가지 상반된 욕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

관련 속담 및 표현

  • 앞뒤가 안 맞는다
  • 제 말이 제 발 저린다
  • 이율배반(二律背反): 두 명제가 서로 충돌하여 동시에 참일 수 없는 상태
  • 자가당착(自家撞着): 스스로 자신의 말이나 행동에 모순됨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이율배반(二律背反): 서로 모순된 두 명제가 동일한 사안에 대해 동시에 진실일 수 없는 철학적 개념
  • 자가당착(自家撞着): 자기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게 충돌하는 경우
  • 역설(逆說, Paradox): 모순되어 보이지만 어떤 진리를 내포한 표현

반대 개념

  • 일관성(一貫性): 말과 행동, 원칙이 처음부터 끝까지 통일되어 있음
  • 정합성(整合性): 전체 논리 구조 속에서 각 요소가 충돌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상태
  • 합리성(合理性): 이성에 근거해 판단하고 행동함. 모순을 피하고 논리적인 사고 전개를 가능하게 함

활용 예문

  • "그의 말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완전한 모순이다."
  • "환경 보호를 말하면서 대형 SUV를 타는 건 모순이 아닐까?"
  • "토론 중 자신의 발언이 이전 주장과 모순됨을 깨닫고 얼굴을 붉혔다."

결론

矛盾(모순)은 단순한 고사성어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말과 행동, 이념과 실천, 욕망과 현실 사이의 충돌은 인간과 사회의 본질적 문제다.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성숙한 사고와 공동체의 건강한 운영을 위한 필수 과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일상 속의 모순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비판적 사고를 통해 그 불일치를 자각하고, 조화롭게 조정하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진리는 모순에서 출발한다. – 헤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