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12.

白眉(백미)는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다. 여러 대상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존재를 지칭할 때 사용되며, 탁월함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

한자 풀이

  • 白(백): 흰 백
  • 眉(미): 눈썹 미

⇒ 흰 눈썹

유래와 배경

'백미'는 삼국지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한다. 촉한의 명재상 제갈량이 "마씨 오형제"를 평가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마씨 오형제는 모두 훌륭하지만,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나니 그의 눈썹 가운데 흰 털이 있어 백미(白眉)라 한다.”

이때부터 백미는 많은 사람 중 으뜸가는 존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인재와 실력자에 대한 비유

학교, 직장, 사회 등에서 유독 탁월한 능력이나 성과를 드러내는 인물에게 백미라는 표현이 쓰인다. 이는 단지 실력뿐 아니라 존재감이나 명성까지 포함하는 찬사다.

2. 작품이나 사물 중 최고의 것

문학, 예술, 제품 등에서도 백미는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그의 시집 중 백미는 3편이다”처럼, 전체 중 가장 뛰어난 일부를 지칭할 때도 활용된다.

3. 눈에 띄는 아름다움

외모, 패션, 건축물 등에서도 유독 눈에 띄고 아름다운 존재를 백미라 표현하기도 한다.

영어 표현과 해석

  • The pick of the bunch. – 무리 중 가장 뛰어난 것
  • The cream of the crop. – 최고의 것
  • Outstanding figure. – 두드러지는 인물
  • A standout. – 눈에 띄는 존재

관련 속담 및 표현

  •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 무리 속의 한 마리 학, 백미와 유사한 뜻
  • 백중지간(伯仲之間) – 실력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으로 백미의 반대 상황
  • 천리마는 하루에 천 리를 간다 – 뛰어난 자는 누구보다 앞서간다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군계일학(群鷄一鶴): 평범한 가운데 뛰어난 존재
  • 일출성신(日出星辰): 해가 뜨면 별빛이 빛을 잃듯 한 인물이 주목받음

반대 개념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비슷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
  • 막상막하(莫上莫下):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 차이가 없다

활용 예문

  • “이번 공모전 작품들 중 이 작가의 작품이 단연 백미였다.”
  • “그는 학급의 백미라 불릴 만큼 공부도, 운동도 잘했다.”
  • “전시회에서 이 그림은 모든 작품 중 백미로 꼽혔다.”

철학적 성찰

백미는 단순한 우열의 개념을 넘어, 탁월함이 어떻게 사회와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묻는 말이다. 탁월한 존재는 때로 질시나 부담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 다른 이들을 끌어올리는 기준이 되며, 공동체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힘이 있다. 백미를 알아보고 존중하는 사회야말로 다양성과 탁월함이 공존하는 건강한 사회라 할 수 있다.

“백미란, 그 자체가 빛나는 별이 아니라, 밤하늘을 밝혀주는 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