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봉황우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6.

鳳凰于飛(봉황우비)
“鳳凰(봉황): 상서로운 새 봉황”, “于(우): ~에, ~에서”, “飛(비): 날다”라는 글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다.
즉, “봉황이 함께 날아오르다”는 뜻으로, 지극히 조화롭고 아름다운 부부 관계나 이상적인 동반자의 조화를 상징하는 말이다.

봉황우비의 뜻과 유래

봉황우비의 정의

봉황우비(鳳凰于飛)는 고대 중국에서 부부의 화합과 인연의 완전함을 표현하는 말로 쓰였다.

  • 의미
    • 봉황 한 쌍이 하늘을 함께 나는 모습은 남녀가 마음을 합해 조화를 이루는 상징이다.
    • 이상적 부부관계, 영원한 사랑, 또는 덕과 의가 조화된 인연을 의미한다.
    • 또한 정치적으로는 군신 간의 조화, 나라의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 사용 맥락
    • 혼례식 문구나 사랑을 찬미하는 시문에서 자주 인용된다.
    • 덕이 있는 인물이 만나 큰 뜻을 함께 이루는 경우에도 비유된다.

봉황우비의 유래

‘봉황우비’는 『시경(詩經)』 〈소아(小雅) 대동(大東)〉 편에 등장한다.

“鳳凰于飛, 翽翽其羽(봉황이 함께 날며, 그 깃털이 아름답게 빛난다)”
이 구절은 봉황 한 쌍이 서로를 의지해 하늘로 오르는 장면을 노래한 시로,
이후로 봉황은 부부의 화합, 덕과 덕의 만남을 상징하는 존재가 되었다.
또한 ‘봉’은 수컷, ‘황’은 암컷으로 해석되어, 두 존재가 함께 날 때 세상이 평화롭다고 믿었다.
진(晉)나라 시기에는 이 표현이 태평성세(太平聖世)의 비유로도 널리 쓰였다.

봉황우비의 현대적 의미

사랑과 조화의 상징

봉황우비는 오늘날 이상적인 사랑과 결합의 비유로 사용된다.

  • 예: “두 사람의 사랑은 봉황우비처럼 고결하고 조화롭다.”
  • 결혼 예식에서는 ‘봉황우비의 연(緣)’이라는 표현이 부부의 화합을 기원하는 말로 쓰인다.

리더십과 협력의 은유

  • 정치, 경영, 조직에서도 ‘봉황우비의 리더십’상호 존중과 협력으로 조화를 이루는 관계를 뜻한다.
  • 예: “CEO와 임원진이 봉황우비처럼 호흡을 맞추어야 조직이 안정된다.”

봉황우비의 유사어

한자성어 음독
比翼連理(비익연리) 함께 날개를 잇다 부부가 한마음으로 사랑을 나누는 모습
琴瑟和鳴(금슬화명) 거문고와 비파가 조화를 이루다 부부간의 화합과 행복을 상징
鳳凰和鳴(봉황화명) 봉황이 서로 노래하다 덕 있는 두 존재의 완벽한 조화
夫唱婦隨(부창부수) 남편이 노래하면 아내가 따른다 부부간의 일심동체를 비유한 말

봉황우비의 활용 예문

  • “그들의 관계는 봉황우비와 같아, 서로를 향한 존경과 사랑이 깃들어 있다.”
  • “이 예술적 협업은 마치 봉황우비처럼 완벽한 조화를 이루었다.”
  • “왕과 신하가 봉황우비의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니 백성이 편안하였다.”

영어 표현

  • A pair of phoenixes flying together – 함께 나는 봉황 한 쌍
  • Perfect harmony – 완벽한 조화
  • A match made in heaven – 천생연분
  • Marital bliss – 부부의 행복
  • Unity in love and virtue – 사랑과 덕의 조화

비슷한 의미의 속담

  • 금슬이 좋다 – 부부가 사이좋게 잘 지내는 것을 뜻함
  • 금실지락(琴瑟之樂) – 부부의 화합을 뜻하는 고사적 표현
  • 천생연분(天生緣分) – 하늘이 맺어준 인연
  • 닮은 꼴 부부 – 오래 함께하며 닮아가는 부부의 조화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反目成仇(반목성구) – 서로 등을 돌리고 원수가 됨
  • 夫離婦散(부리부산) – 부부가 이별하거나 흩어짐
  • 不和(불화) – 서로 뜻이 맞지 않음
  • 各行其是(각행기시) – 각자 자기 방식대로 행동함

결론

봉황우비(鳳凰于飛)는 단순히 사랑의 비유를 넘어, 덕과 덕의 조화, 인연의 완전한 결합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다.
한 쌍의 봉황이 하늘을 함께 날아오르는 모습은 사랑, 협력, 평화의 궁극적 이상을 담고 있다.
오늘날에도 이 말은 부부의 화합, 조직의 협력, 인간관계의 조화를 표현할 때 쓰이며,
우리에게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나아가는 삶의 가치를 일깨워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