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端(사단)은
"四(사): 넷", "端(단): 실마리, 근원"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마음속에 선한 성품의 네 가지 근원을 가리키는 유교의 핵심 개념이다.
이는 맹자(孟子)가 처음 제시한 도덕 철학의 근본 이론으로,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의 뿌리가 되는 사상이다.
사단의 뜻과 유래
사단의 정의
사단(四端)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의 싹(端)을 뜻한다.
이 네 가지는 바로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다.
맹자는 이를 두고 “사람에게는 누구나 이 네 가지 마음이 본래부터 있다”고 하였다.
- 의미
- 사단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도덕의 단초(端初)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근원이다.
- 인간의 선한 본성을 증명하는 심리적 근거.
- 인격 수양과 도덕 실천의 출발점.
- 구성
- 측은지심(惻隱之心) → 仁(인)의 단(端):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 수오지심(羞惡之心) → 義(의)의 단(端): 옳지 않음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 사양지심(辭讓之心) → 禮(예)의 단(端): 겸손히 사양하는 마음
- 시비지심(是非之心) → 智(지)의 단(端):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
사단의 유래
사단은 『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등장한다.
맹자가 제자 공손추(公孫丑)와의 문답 중 이렇게 말한다.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즉,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인의 시작이며,
부끄러워하는 마음은 의의 시작이며,
사양하는 마음은 예의 시작이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지혜의 시작이다.
사람에게 이 네 가지가 있음은,
사람에게 사지가 있는 것과 같다.”
맹자는 이 네 마음이 인간 본성의 일부이며,
수양을 통해 확충하면 완전한 덕(德)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사상은 훗날 성리학과 유교 윤리관의 핵심 원리로 발전하였다.
사단의 철학적 의미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
맹자는 “인간의 마음에는 본래 선의 씨앗이 있다”고 하며,
이를 성선설(性善說)이라 하였다.
사단은 그 씨앗이 싹트는 출발점으로,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본질이 인간 본성에서 비롯됨을 의미한다.
수양과 실천의 기준
사단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근본이며,
이 네 가지 마음을 기르고 확충하는 것이 곧 군자(君子)의 길이다.
즉, 사단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도덕적 행위의 근거이자 수양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사회적 조화의 원리
사단은 개인의 내면적 도덕뿐 아니라,
사회적 윤리질서의 근간이 된다.
측은지심은 사랑을, 수오지심은 정의를,
사양지심은 예절을, 시비지심은 지혜로운 판단을 낳는다.
따라서 사단은 인간관계와 사회 도덕의 뿌리라 할 수 있다.
사단의 현대적 해석
- 심리학적 관점
인간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부당함을 느끼며, 예의를 지키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려는 본능적 성향을 가진다.
이는 맹자가 말한 사단이 인간의 보편적 도덕감정임을 시사한다. - 윤리적 관점
오늘날 사단은 인간 존엄성, 공감, 정의, 예절, 판단력 등 현대 윤리의 핵심 가치와도 통한다.
도덕의 근원은 외부 규율이 아니라 내면의 자각이라는 점을 일깨운다. - 교육적 관점
사단은 인성 교육의 뼈대다.
공감(측은지심), 정의감(수오지심), 배려(사양지심), 비판적 사고(시비지심)는
모두 인간다움을 길러내는 교육의 본질이다.
사단의 유사어
- 性善說(성선설) –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는 사상
- 仁義禮智(인의예지) –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네 덕목
- 道德之根(도덕지근) – 도덕의 뿌리
- 四德(사덕) – 사단이 완전히 성장했을 때의 덕목
사단의 활용 예문
- "맹자는 인간의 마음속에 사단이 존재한다고 하여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 "사단을 길러내는 것이 곧 인의예지를 완성하는 길이다."
- "어린아이가 넘어지는 것을 보고 돕고자 하는 마음, 그것이 곧 측은지심이자 사단의 출발이다."
- "현대 사회의 도덕 위기는 사단의 감각이 무뎌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영어 표현
- The Four Beginnings of Virtue – 덕의 네 가지 시작
- Four Sprouts of Morality – 도덕의 네 가지 싹
- Mencius’s Four Beginnings – 맹자의 사단설
- Innate moral sense – 타고난 도덕적 감정
비슷한 의미의 속담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선한 마음에서 선한 행위가 나온다.
- 착한 마음이 착한 세상을 만든다 – 마음의 본성이 세상을 바꾼다.
- 사람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 – 도덕적 행위는 내면의 마음가짐에서 비롯된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七情(칠정) – 희로애락애오욕, 감정의 혼란과 욕망
- 性惡說(성악설) –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주장 (순자 학설)
- 無情無義(무정무의) – 인간다움이 결여된 태도
- 利己主義(이기주의) –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태도
결론
사단(四端)은 인간의 마음속에 내재된 도덕의 씨앗이자 인격의 근원이다.
이 네 가지 마음이 자라 인의예지로 완성될 때, 인간은 비로소 도덕적 존재로 거듭난다.
사단은 단지 옛 사상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공감·정의·배려·판단이라는 네 가지 인성의 뿌리를 일깨우는 시대를 초월한 인간학의 명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