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인성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28.

三人成虎(삼인성호)근거 없는 말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참인 것처럼 여겨진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거짓이 반복되면 진실처럼 받아들여지는 인간 심리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한자 풀이

  • 三(석 삼): 숫자 셋
  • 人(사람 인): 사람
  • 成(이룰 성): 이루다, 되다
  • 虎(호랑이 호): 호랑이

⇒ 세 사람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말하면 실제로 호랑이가 있는 것처럼 믿게 된다는 의미

유래와 배경

『戰國策(전국책)』의 "魏策(위책)" 편에 등장하는 고사이다.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의 방총(龐蔥)이 조나라에 인질로 떠나기 전, 왕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지금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 사람이 말하면 믿으시겠습니까?"
"아니오."
"두 사람이 말하면 어떻습니까?"
"그래도 안 믿을 겁니다."
"세 사람이 말하면요?"
"그럼 정말 그런가 싶겠군요."

 

방총은 이에 덧붙였다. "제가 조나라에 간 뒤 저를 헐뜯는 이들이 많을 텐데, 세 사람이 말하면 어찌 믿지 않으시겠습니까?" 결국 위왕은 그를 믿지 않게 되었고, 방총은 귀국 후에도 중용되지 못했다.

현대적 의미와 활용

1. 여론의 위험성

  • 아무리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반복하면 진실처럼 믿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 언론, SNS, 집단심리 등에서 잘못된 정보가 퍼질 위험을 경고할 때 자주 인용된다.

예: “근거도 없는 음모론이 삼인성호가 되어 대중을 현혹했다.”

2. 루머와 편견의 형성

  • 소문과 편견이 형성되는 구조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 반복되는 루머가 개인의 명예나 사회적 신뢰를 훼손할 수 있음을 경계한다.

예: “처음엔 한두 명의 말이었지만, 삼인성호가 되어 그는 억울한 누명을 썼다.”

영어 표현과 해석

  •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 – 거짓말도 반복되면 진실이 된다
  • Where there's smoke, there's fire – 연기가 나면 불이 있다 (소문엔 이유가 있다는 뜻)
  • The bandwagon effect – 대세에 따라 맹목적으로 따르는 현상

"Don't believe everything you hear – it's just a case of 三人成虎."
(들은 말을 모두 믿지 마세요 – 단지 삼인성호일 뿐이에요.)

관련 표현과 유사 고사성어

  • 讒言(참언) – 남을 해치려는 거짓 비방
  • 讒口鑄鐸(참구주탁) – 비방하는 입이 종을 부술 정도로 해롭다
  • 流言蜚語(유언비어) – 떠도는 헛소문

반대 개념

  •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구하다
  • 耳聞不如目見(이문불여목견) – 듣는 것보다 보는 것이 정확하다

속담 및 관용 표현

  • “거짓말도 백 번 하면 믿는다.”
  •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 (비판적으로 사용될 때)
  • “세 치 혀가 사람을 죽인다.”

활용 예문

  • "그 사건은 삼인성호로 부풀려진 루머일 뿐이다."
  • "여론이 무서운 것은 삼인성호처럼 진실을 왜곡하기 때문이다."
  • "그는 아무 죄도 없지만, 삼인성호로 인해 사회적 낙인이 찍혔다."

결론

‘삼인성호’는 사실이 아닌 말도 반복되고 퍼지면 진실처럼 보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우리는 더욱 비판적 사고와 검증 능력을 길러야 한다. 무심코 던진 말이 누군가의 인생을 바꿀 수 있으며, 사회 전체에 오도된 판단을 낳을 수 있음을 항상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