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동격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0. 31.

聲東擊西(성동격서)
"聲(성): 소리내다", "東(동): 동쪽", "擊(격): 치다", "西(서): 서쪽"이라는 뜻으로,
겉으로는 동쪽에서 소란을 내지만 실제 공격은 서쪽에서 하는 기만 전술을 말한다.
눈앞의 연기 뒤에서 칼끝이 반짝이고, 소리의 그림자가 방향을 속이는 계략.
전장은 물론 일상 속 경쟁에서도 쓰이는, 주의를 돌리고 본질을 숨기는 지혜다.

성동격서의 뜻과 유래

성동격서의 정의

성동격서는 겉으로는 한 방향을 강조해 상대를 속이고, 실제 목적은 다른 곳에 두는 전략이다.

  • 의미
    • 관심과 시선을 허위 방향으로 유도해, 진짜 행동을 감춘다.
    • 속임수이지만, 정면 충돌보다 더 날카로운 지략.
    • 힘보다 머리로 승부하는 책략의 대표.
  • 사용 맥락
    • 협상에서 상대의 판단을 어지럽힐 때.
    • 비즈니스 전략에서 경쟁사를 속일 때.
    • 군사 작전이나 스포츠 경기에서 전략적 페인트 모션으로 쓰일 때.

성동격서의 유래

성동격서는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 비롯된 전술이다.
전쟁터에서 북소리는 동쪽에서 울리고, 실제 병사는 서쪽으로 움직인다.
적은 북소리를 쫓고, 군사는 빈 틈을 찌른다.
“소리의 껍데기와 움직임의 속살이 따로 논다.”
고대는 피 냄새 속에서 지략이 피어났고, 오늘은 시장과 사회에서 그 지혜가 이어진다.

성동격서의 현대적 의미

전략적 시선 분산

  • 본질을 감추고 겉모습으로 적을 속인다
    • 기업이 신제품을 비밀리에 개발하며 다른 프로젝트를 흘릴 때.
    • 선거에서 논란을 감추기 위해 다른 이슈를 강하게 띄울 때.

정보 시대의 심리전

  • 노이즈와 포커스의 싸움
    • 미디어는 종종 큰 뉴스 뒤에 중요한 사실을 숨긴다.
    • 여론은 빛나는 물결에 끌리고, 깊은 물속의 흐름을 놓친다.

개인 관계에서도 쓰임

  • "말과 행동이 다르게 움직일 때"
    • 관심 없는 척하면서 마음은 깊이 움직이는 연애의 전략.
    • 일부러 실수를 연기해 상대 경계를 낮추는 심리전.

성동격서의 교훈

  •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 주의를 흐리고 집중을 빼앗는 기술도 힘이다
  • 판을 읽는 눈이 없으면, 소리에 따라 춤추게 된다

싸움은 칼끝에서 벌어지지 않는다.
이미 눈과 마음이 흔들린 순간 전투는 시작된다.

성동격서의 유사어

표현 의미
誘敵(유적) 적을 유도해 함정에 빠뜨림
欺敵(기적) 적을 속여 승리함
假道伐虢(가도벌괵) 겉의 명분을 빌려 속뜻을 이루는 책략
濫竽充數(남우충수) 겉치레로 속이려는 태도(약간 다른 맥락이지만 기만 요소 존재)

성동격서 활용 예문

  • "회사는 해외 시장 진출을 말했지만, 성동격서로 이미 내수 신사업을 준비하고 있었다."
  • "그 정치인의 발언은 비난을 피하기 위한 성동격서였다."
  • "상대 수비를 끌어낸 패스는 완벽한 성동격서였다."

영어 표현

  • Decoy tactic 기만 전술
  • Smoke and mirrors 진실을 감추는 연막술
  • Feint attack 유인 공격
  • Misdirection strategy 시선 분산 전략

비슷한 속담

  • 고양이 앞에 쥐가 방울 흔든다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모습
  • 눈 가리고 아웅
    허울로 속이려는 행위
  • 허수아비 세워두기
    진짜 목표가 아닌 가짜 대상 제시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직공(直攻) 정면 승부
  • 정도(正道) 바른 방식으로 해결
  • 정면대응 숨김 없이 대응

결론

성동격서는 소리는 동쪽에, 칼은 서쪽에 둔다.
속임이지만 유약이 아니다.
정면으로 부딪히기 어렵다면 머리로 길을 열라는 가르침이다.
세상은 언제나 소리로 가득하고, 진실은 조용하다.
그 속에서 우리는 소리의 그림자를 넘어 움직임의 진심을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