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구초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28.

首丘初心(수구초심)근본을 잊지 않고 고향이나 본래의 마음을 그리워하는 정서를 나타내는 고사성어다.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언덕을 향해 머리를 돌린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곳이나 본래의 마음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한자 풀이

  • 首(머리 수): 머리
  • 丘(언덕 구): 언덕, 고향
  • 初(처음 초): 처음, 본래
  • 心(마음 심): 마음

⇒ 죽을 때조차 고향을 잊지 않는 본연의 마음, 근본에 대한 회귀

유래와 배경

『사기(史記)』 「노중열전(魯仲列傳)」에 따르면, “여우는 죽을 때 반드시 머리를 자기가 살던 언덕 쪽으로 돌린다(狐死必首丘)”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은 자연의 섭리처럼 생명은 본래의 근원을 그리워하며 회귀하려는 속성을 지닌다는 철학적 사유로 발전하였다.

현대적 의미와 활용

1.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 타지에서 살다가도 언제나 마음속에 고향을 품고 있는 정서를 말한다.
  • 고국을 떠나 해외에서 생활하는 이민자나 유학생에게 흔히 나타나는 감정이다.

예: "수십 년이 지나도 고향에 대한 수구초심은 여전하다."

2. 초심을 지키는 자세

  • 어떤 일의 처음 마음을 변치 않고 유지하려는 태도를 나타내는 데도 사용된다.
  • 기업 경영이나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초심을 잃지 말자는 격려의 말로 사용된다.

예: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다. 수구초심으로 돌아가자."

영어 표현과 해석

  • Returning to one’s roots – 자신의 뿌리로 돌아감
  • A longing for one’s homeland – 고향에 대한 그리움
  • Never forgetting where one came from – 자신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잊지 않음

"Even after decades abroad, he carried the spirit of 首丘初心 in his heart."
(수십 년 동안 해외에 있어도 그는 늘 수구초심의 마음을 간직했다.)

관련 표현과 유사 고사성어

  • 음수사원(飮水思源) – 물을 마실 때 그 근원을 생각한다
  • 반근착절(盤根錯節) – 뿌리가 얽히고 가지가 뒤엉킴, 사물의 근본과 맥락을 중시
  • 초지일관(初志一貫) – 처음의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반대 개념

  • 망국망족(忘國忘族) – 나라와 민족을 잊다
  • 배은망덕(背恩忘德) – 은혜를 잊고 도리를 저버림
  • 기회주의(機會主義) – 상황에 따라 원칙 없이 이익을 추구함

속담 및 관용 표현

  • "고향이 그립다."
  • "초심을 잃지 말자."
  • "사람은 뿌리를 알아야 한다."

활용 예문

  • "수구초심의 정서를 간직한 그는 늘 고향 마을을 생각하며 살았다."
  • "성공한 뒤에도 초심을 잊지 않는 모습에서 수구초심의 미덕이 보였다."
  • "수구초심이야말로 인간 본연의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결론

‘수구초심’은 단순한 고향에 대한 향수를 넘어, 인간 존재의 근원을 회상하고 그것을 삶의 나침반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담고 있다. 현대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뿌리를 잃기 쉬운 시대일수록, ‘수구초심’의 가치는 더욱 빛난다. 자신이 어디에서 시작했는지를 잊지 않는 것, 그것이 흔들림 없는 삶의 자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