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匙一飯(십시일반)은
“十(십): 열”, “匙(시): 숟가락”, “一(일): 하나”, “飯(반): 밥”이라는 글자 그대로, “열 숟가락이 모여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큰일도 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십시일반의 뜻과 유래
십시일반의 정의
십시일반은 많은 사람이 각자 조금씩 힘을 보태면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
- 의미
- 여러 사람의 작은 정성도 모이면 큰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뜻.
- ‘나 혼자라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넘어 작은 힘의 집합이 큰 힘이 된다는 것을 강조.
- 공동체적 협력의 가치와 상부상조의 정신을 담고 있다.
- 사용 맥락
- 기부나 모금 활동에서 작은 금액의 후원이 모여 큰 자금을 이룰 때.
- 공동체가 한마음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 “십시일반으로 돕자”는 표현은 사회적 연대와 협력을 촉구할 때 자주 쓰인다.
십시일반의 유래
십시일반의 유래는 중국 고전과 우리 고유의 속담 문화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
- 고대 중국에서 가난한 이웃을 위해 마을 사람들이 한 숟갈씩 밥을 덜어 모아 한 끼를 만들어 주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 ‘十匙一飯’이라는 표현은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도덕 교훈서에도 실려 있으며, 공동체의 덕목과 나눔의 미덕을 강조하는 데 자주 등장했다.
- 한국에서도 전통적으로 마을 공동체가 어려운 사람을 돕는 상부상조의 정신을 강조할 때 사용해 왔다.
십시일반의 현대적 의미
나눔과 연대의 상징
- 개인의 작은 기여가 큰 결과를 만든다
- 소액 기부, 재능 나눔, 자원봉사 등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 예: “많은 시민들이 십시일반으로 성금을 모았다.”
- 사회적 연대의 상징어
-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십시일반은 공동체 회복의 핵심 가치로 주목받는다.
- 예: “위기 상황에서 십시일반의 정신이 더욱 빛났다.”
경제·사회적 활용
- 모금 활동, 재난 구호, 공공 프로젝트 등에서 중요한 개념.
-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도 일종의 십시일반 개념으로 해석된다.
- 예: “작은 후원금이 모여 큰 변화를 이끌어냈다. 이것이 십시일반의 힘이다.”
십시일반의 유사어
- 積少成多(적소성다) – 적은 것이 쌓여 많아진다.
- 衆志成城(중지성성) – 많은 사람의 뜻이 모이면 성(城)을 쌓을 수 있다.
- 集腋成裘(집액성구) – 겨드랑이 털을 모아 털옷을 만든다.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뜻.
십시일반의 활용 예문
- “학생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으로 장학금을 만들었다.”
- “십시일반의 정신으로 재해 피해 주민을 도왔다.”
- “작은 정성도 모이면 큰 사랑이 된다. 바로 십시일반의 힘이다.”
영어 표현
- Many a little makes a mickle. –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룬다’는 뜻의 영어 속담.
- Every little helps. – 작은 도움도 큰 차이를 만든다.
- Small contributions make a big difference. – 작은 기여가 큰 변화를 만든다.
- Unity is strength. – 함께하면 강해진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
- 티끌 모아 태산 –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된다.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혼자보다 함께하면 수월하다는 뜻.
- 십 년 가뭄에도 한 숟갈의 물이 강이 된다 – 작은 노력도 모이면 결과가 있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독불장군(獨不將軍) – 혼자서는 큰일을 이룰 수 없다는 뜻.
- 각자도생(各自圖生) – 각자가 제 살 길만 찾는 이기적 태도.
- 고립무원(孤立無援) – 도움 없이 외롭게 홀로 있는 상태.
- 무관심(無關心) – 공동체적 연대의 부재.
결론
십시일반은 작은 힘이 모여 큰 힘이 되고, 작은 정성이 큰 변화를 만든다는 고사성어다. 이는 단순한 나눔의 표현이 아니라, 공동체의 생명력을 지탱하는 근본적 가치다. 현대 사회에서 십시일반은 개인의 참여를 촉진하고,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며, 위기 극복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한다.
공동체는 거대한 단일한 힘이 아닌, 수많은 작은 손길들의 모임으로 움직인다. 바로 그것이 십시일반의 정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