壓卷(압권)은 여러 글 중에서 가장 뛰어난 글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본래는 문집에서 가장 훌륭한 글이 책장을 누른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오늘날에는 여러 작품, 공연, 문장, 인물 등에서 가장 탁월한 것을 일컫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된다.
한자 풀이
- 壓(누를 압): 누르다, 압도하다
- 卷(책 권): 책, 문서
⇒ 여러 글을 모은 책에서 가장 뛰어난 글이 나머지를 눌러 가장 돋보인다는 뜻
유래와 배경
‘압권’이라는 표현은 문집(文集)에서 최고의 글을 ‘壓卷之作(압권지작)’이라 불렀던 데서 유래했다. 책에서 마지막 부분에 실린 가장 뛰어난 글이 다른 글들을 압도한다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탁월함과 뛰어남을 상징하는 말이다.
이는 단지 글에만 국한되지 않고, 문예, 예술, 학문, 스포츠 등 경쟁적 영역에서 최상급의 평가를 받을 만한 대상에 두루 쓰인다.
현대적 의미와 활용
1. 문학·예술 작품의 극찬 표현
- “그의 단편소설은 이번 문예지에서 단연 압권이었다.”
2. 공연·영화·드라마 등에서 최고의 장면
- “이번 무대의 마지막 독창은 진정한 압권이었다.”
3.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유달리 돋보이는 존재
- “여러 발표자들 중에서도 그의 발표는 압권으로 손꼽혔다.”
영어 표현과 해석
- Highlight of the collection – 모음집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
- Masterpiece – 걸작
- Standout performance – 눈에 띄는/탁월한 공연 또는 성과
- Crowning achievement – 가장 위대한 업적
- Best of the best – 최고의 것
관련 표현과 유사 고사성어
- 백미(白眉) –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 또는 사물
- 일세지걸(一世之傑) – 한 시대를 대표할 만한 인물
- 일품일계(一品一箇) – 으뜸가는 뛰어난 인물 하나
반대 개념
- 하수(下手) – 솜씨나 실력이 부족한 사람
- 범작(凡作) – 평범한 작품, 특별하지 않은 글
활용 예문
- “그의 논문은 수많은 응모작 중 압권으로 평가받았다.”
- “영화 후반부 전투신은 시각적 압권이었다.”
- “압권이란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다.”
철학적 성찰
‘압권’은 단순히 탁월함의 결과물이 아니라, 지속적인 수련과 진정성 있는 노력의 산물이다. 많은 글이나 작품 중에서 유독 돋보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창작자에게 ‘어떻게 남들과 다른 깊이와 감동을 줄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진정한 압권은 기술의 정교함을 넘어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과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진짜 압권은 늘 마지막 페이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