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14.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

한자 풀이

  • 逆(역): 거스를 역
  • 鱗(린): 비늘 린

⇒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

유래와 배경

『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다.

한비자는 이를 통해 임금에게 간언할 때의 위험성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임금의 비위를 거슬러서는 안 되며, 잘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정치적 교훈으로 사용된 것이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조직 내 금기 주제나 인물의 분노 유발 포인트

기업이나 조직에서 어떤 인물에게 건드려서는 안 되는 사안이 있을 때, 그 사안을 '역린'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사의 과거 실책이나 민감한 사생활이 그 사람의 역린일 수 있다.

2. 감정의 급소를 자극하는 행위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상대방의 트라우마, 자존심, 신념 등과 같은 감정적 약점을 자극하는 경우를 '역린을 건드렸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는 관계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3. 정치, 외교, 사회 영역에서의 민감한 주제

국가 간의 외교 문제에서 역사적 분쟁이나 종교, 영토 문제처럼 건드리면 갈등이 폭발하는 사안도 '역린'이라고 한다. 예: "위안부 문제는 일본 외교의 역린이다."

영어 표현과 해석

  • Touch a nerve – 신경을 건드리다, 민감한 지점을 자극하다
  • Trigger someone's rage – 누군가의 분노를 촉발시키다
  • Hot button issue – 민감하고 논란이 많은 사안

관련 속담 및 표현

  • 개에게 몽둥이질 – 건드리면 반드시 반격하는 대상
  • 건드리지 말아야 할 것을 건드리다 –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하여 문제를 일으키다
  • 불에 기름 붓기 – 격한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 행위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급소(急所): 공격이나 자극 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부위
  • 아킬레스건(Achilles' heel): 쉽게 드러나지 않지만 결정적인 약점
  • 지뢰밭 이슈: 함부로 건드리면 위험한 주제

반대 개념

  • 중용(中庸): 감정의 극단을 피하고 중심을 지키는 태도
  • 관용(寬容): 노여움을 참는 포용력
  • 무심(無心): 자극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

활용 예문

  • “그 사람은 평소엔 온화하지만 가족 이야기를 꺼내면 역린을 건드리는 셈이야.”
  • “그 정책을 언급한 건 정부의 역린을 자극한 셈이었다.”
  • “나는 그의 역린을 모르고 말실수를 했다가 큰 싸움이 났다.”

철학적 성찰

역린은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심리적 경계선이다.

누구에게나 건드려지기 싫은 영역이 있다. 그 영역은 경험의 상처일 수도, 고집스러운 자존심일 수도 있다. 문제는, 그 역린이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관계의 진정한 지혜는 역린을 발견하고 조심하는 데서 시작된다.

또한 역린을 통해 우리는 권력과 감정의 관계도 이해할 수 있다. 권력이 클수록, 역린도 치명적이다. 그래서 통치자든 지도자든,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한다면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는 존재가 되기 쉽다. 역린을 자각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다스리는 것이 곧 자기 수양이자 인간 관계의 도리다.

“용을 타되, 역린을 건드리지 마라.” – 『한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