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온고이지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6.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
“옛것을 익히고(溫故) 새로운 것을 안다(知新)”는 뜻의 고사성어다.
즉, 과거의 지식을 되새기며 그 속에서 새로운 깨달음과 통찰을 얻는다는 의미로,
학문과 인생의 기본 태도를 함축한 말이다.

온고이지신의 뜻과 유래

온고이지신의 정의

온고이지신은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복습하고 되짚어봄으로써 새로운 지혜를 얻는다는 뜻이다.

  • 의미
    • 배운 것을 다시 익혀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 것.
    • 전통과 과거를 바탕으로 혁신과 발전을 이루는 자세.
    • 지식의 누적과 통찰의 반복을 통해 진정한 ‘지혜’에 이르는 과정.
  • 사용 맥락
    • 학문, 예술, 과학 등에서 기초를 중시하며 발전을 추구할 때.
    • 교육과 리더십 철학을 설명할 때.
    • 과거의 경험을 현재에 응용하는 태도를 찬양할 때.

온고이지신의 유래

이 성어는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서 유래하였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溫故而知新,可以爲師矣」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공자의 뜻은 단순한 암기의 반복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새로운 이해와 창조로 이어가는 것이었다.
그는 배움이 단순한 기억이 아니라, 생각의 확장과 재해석임을 강조했다.
따라서 ‘온고이지신’은 공자의 학문관을 상징하는 말이자,
지속적 학습과 창조적 사고의 모범 원리로 여겨진다.

온고이지신의 현대적 의미

배움의 순환 구조

  • 기초와 복습의 중요성
    • 지식은 한 번 배운 것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 복습과 재탐구를 통해 새로운 통찰이 태어난다.
    • 예: “그는 온고이지신의 자세로 연구를 거듭했다.”

창조와 전통의 균형

  • 옛것에서 새것을 찾는 태도
    • 단순히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과거 속에서 현재를 밝히고 미래를 비추는 것이 진정한 ‘온고이지신’이다.
    • 예: “한국의 전통문화는 온고이지신의 정신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될 때 빛난다.”

지식경영과 리더십의 관점

  •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필요한 자세
    • 리더는 과거의 실패와 경험을 복기하여 새로운 전략을 세워야 한다.
    • 온고이지신은 ‘지속적 성장의 기반이 되는 회고적 혁신’이다.
    • 예: “경영자는 온고이지신의 자세로 시장을 바라보아야 한다.”

온고이지신의 교훈

  • 배움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순환이다.
    • 옛것을 익히며 새것을 깨닫는 과정 속에서 인간은 성숙한다.
  • 지혜는 과거의 기억에서 피어나는 현재의 꽃이다.
    • 전통을 존중하되, 새로운 창조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배움이다.
  • 지식의 깊이는 시간의 누적에서 온다.
    • 과거를 복습하지 않는 학문은 뿌리 없는 나무와 같다.

온고이지신의 유사어

한자성어 음독
學而時習之 (학이시습지) 배우고 때때로 익히다 학문의 기쁨을 말함
見賢思齊 (견현사제) 어진 이를 보고 자신을 본받음 배움의 자세 강조
知行合一 (지행합일) 앎과 행함이 하나가 됨 지식과 실천의 조화
日新又新 (일신우신) 날마다 새로워지고 또 새로워짐 끊임없는 자기 혁신

온고이지신의 활용 예문

  • “그 교수는 온고이지신의 정신으로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 “역사는 온고이지신의 거울이다. 과거를 알 때 미래를 본다.”
  • “온고이지신의 태도 없이 발전만을 외친다면, 뿌리 없는 변화에 불과하다.”
  • “그는 과거의 경험을 되짚으며 새 전략을 세웠다. 바로 온고이지신의 실천이었다.”

영어 표현

영어 표현 의미
Learn from the past to create the future 과거에서 배워 미래를 만든다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옛것을 되새기며 새것을 배운다
Study the past if you would define the future (Confucius) 미래를 알고 싶다면 과거를 연구하라
Reflect and renew 되돌아보고 새롭게 한다
Learning is a circle, not a line 배움은 선이 아니라 순환이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

  • 옛일을 알면 새일이 보인다 – 과거의 경험이 미래의 길잡이가 된다.
  • 낡은 밥솥이 새 밥을 짓는다 – 오래된 것에서도 새로운 가치를 얻을 수 있다.
  • 지난 일은 스승이다 – 과거의 경험은 가장 값진 교훈이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개념 의미
교조주의(敎條主義) 옛것만 고집하며 새로운 변화나 깨달음을 거부함
망각(忘却) 과거의 경험을 잊고 반복된 실수를 되풀이함
무지(無知) 학문과 지식의 축적 없이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
혁신 단절(斷絶) 전통을 단절시켜 새것만 좇는 태도

결론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은 단순한 학문의 방법론을 넘어,
인간의 성장과 문명의 발전을 이끄는 영원한 원리다.
과거의 지혜는 미래의 씨앗이 되고,
기억된 경험은 새로운 통찰의 문을 연다.
공자는 말한다 —
“옛것을 따뜻하게 되새기며 새것을 깨닫는 자, 그가 바로 스승이 될 수 있다.”
온고이지신은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혁신을 잇는 다리이며,
배움의 본질을 일깨우는 고사성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