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용호상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0. 20.

龍虎相搏(용호상박)
“龍(용): 용”, “虎(호): 호랑이”, “相(상): 서로”, “搏(박): 싸우다”라는 뜻으로,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이는 힘과 기세가 막상막하인 두 강자가 격렬하게 대립하거나 싸우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용호상박의 뜻과 유래

용호상박의 정의

용호상박은 막강한 두 세력 또는 인물이 치열하게 맞붙는 상황을 상징한다.

  • 의미
    • 서로 비등한 실력을 가진 강자가 치열하게 다투는 상황.
    • 승패를 쉽게 가늠할 수 없는 접전.
    • 양보 없는 경쟁 구도나 극한의 대결을 나타냄.
  • 사용 맥락
    • 정치, 스포츠, 전쟁, 기업 경쟁 등에서 자주 쓰임.
    • 두 인물 또는 집단이 대등하게 맞붙을 때.
    • 치열한 승부나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상황 묘사.

용호상박의 유래

용호상박이라는 표현은 중국 고대의 전설과 상징적 이미지에서 비롯되었다.

  • 용(龍)은 예로부터 천상의 존재로 여겨지며 왕권과 권위를 상징했다.
  • 호랑이(虎)지상의 맹수로서 용과 함께 자연의 양대 세력으로 인식되었다.
  • 중국 고전에서는 “용과 호랑이가 맞붙는 싸움은 천지를 뒤흔든다”는 표현이 등장하며, 이는 양강(兩强)의 충돌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관용 표현으로 발전하였다.
  • 『후한서(後漢書)』와 『삼국지(三國志)』 등 역사서에서도 강력한 두 세력이 충돌하는 전쟁이나 정치적 대립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자주 등장했다.

용호상박의 현대적 의미

치열한 경쟁 구도

  • 정치·경제
    • 대선에서 두 유력 후보가 팽팽히 맞붙는 상황을 “용호상박”이라 부른다.
    • 대기업 간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 스포츠
    • 우열을 가릴 수 없는 팀 간의 경기를 표현할 때 흔히 쓰인다.
    • 예: “오늘 결승전은 명실상부한 용호상박의 대결이었다.”

긴장감과 불확실성의 상징

  • 승패를 알 수 없는 접전
    • 어느 쪽이 이길지 모를 만큼 실력이 비슷한 상황.
    • 결과보다 과정의 치열함과 격돌의 순간에 초점이 맞춰짐.
  • 양강 체제
    • 정치, 경제, 외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두 세력이 균형을 이루며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용호상박의 유사어

  • 伯仲之勢(백중지세) – 누가 위인지 아래인지 분간할 수 없는 대등한 형세.
  • 勢均力敵(세균역적) – 세력과 힘이 엇비슷하여 승부를 예측하기 어려움.
  • 犬牙相接(견아상접) – 서로의 세력이 맞붙어 팽팽히 대치하는 상황.

용호상박의 활용 예문

  • “두 후보의 토론은 그야말로 용호상박이었다.”
  • “오늘의 결승전은 실력이 엇비슷한 두 팀의 용호상박으로 손에 땀을 쥐게 했다.”
  • “양측의 세력이 팽팽히 맞서 용호상박의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영어 표현

  • A neck and neck race – 막상막하의 승부
  • Titans clash – 거인들의 충돌
  • A fierce showdown – 치열한 결전
  • Power struggle between equals – 대등한 세력 간의 힘겨루기
  • A battle of giants – 강자들의 대결

비슷한 의미의 속담

  • 호랑이 싸움에 고양이 등 터진다 – 강자들의 싸움에 약자가 피해를 본다는 뜻.
  • 막상막하 – 어느 쪽이 더 우위에 있는지 분간할 수 없을 만큼 비슷함.
  • 호랑이 싸움 구경한다 – 강자들의 싸움을 방관하는 상황을 비유.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일방통행(一方通行) – 한쪽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
  • 절대우위(絶對優位) –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한쪽의 힘이 강함.
  • 낙승(落勝) – 큰 힘의 차이로 손쉽게 이기는 것.

결론

용호상박은 대등한 두 강자가 물러섬 없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을 그려내는 생동감 있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단순한 싸움이 아니라, 팽팽한 긴장감·치열한 경쟁·승부의 예측 불가능성을 상징한다.
정치, 스포츠, 기업, 국제 관계 등 경쟁의 본질이 드러나는 모든 장면에서 자주 쓰이며, 듣는 이로 하여금 긴박한 대결의 현장을 직감하게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