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대미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0. 27.

前代未聞(전대미문)
"前(전): 앞, 이전", "代(대): 시대", "未(미): 아직 ~않다", "聞(문): 듣다"
즉, “이전 시대에는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이는 역사상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새로운 일이나 놀라운 사건을 표현할 때 쓰인다.

전대미문의 뜻과 유래

전대미문의 정의

전대미문은 이전 시대에는 전혀 없던 일, 전례가 없는 사건이나 사상, 현상을 뜻한다.
이 표현은 보통 극히 이례적이고 충격적인 일이나, 혹은 획기적이고 새로운 일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 의미
    • 역사상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일.
    • 전례가 없는 대사건, 혹은 독창적인 새로운 일.
    • 놀라움과 경악, 혹은 혁신을 담은 표현.
  • 사용 맥락
    • 재난, 사고, 정치적 혼란 같은 초유의 사건에 대해.
    • 예술, 과학, 기술 등에서 전무후무한 성취를 표현할 때.
    • 기존 질서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을 지칭할 때.

전대미문의 유래

‘전대미문’은 중국 한문학에서 자주 사용된 표현으로, "前代未聞之事(전대미문의사)", 즉 “이전 시대에는 들어본 적이 없는 일”이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 『사기(史記)』나 『한서(漢書)』 등의 고전 문헌에서도 “전대미문”은 역사상 초유의 사건을 기록할 때 쓰이던 공식적인 수사(修辭)로 등장한다.
  • 예를 들어 천재지변, 반란, 이단사상, 혹은 초유의 혁신을 기록할 때, 사관들은 이를 “전대미문”이라 표현하여 그 사건의 특이성과 충격성을 강조했다.
    이후 동아시아 각국에서 같은 표현이 관용어로 정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사상 초유의’ 또는 ‘유례없는’이라는 뜻으로 널리 쓰인다.

전대미문의 현대적 의미

1. 사상 초유의 사태를 지칭할 때

  • “전대미문의 사건”, “전대미문의 혼란” 등은 사회적 충격을 준 대형 사건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 예: “전대미문의 금융 위기가 세계 경제를 흔들었다.”
    • 예: “그는 전대미문의 부패 스캔들로 구속되었다.”

2. 전무후무한 성취를 칭송할 때

  • 반대로, 긍정적인 의미로 ‘전대미문의 성공’이나 ‘혁신’을 뜻하기도 한다.
    • 예: “전대미문의 기술 혁신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했다.”
    • 예: “그 예술가는 전대미문의 감각으로 새로운 미학을 창조했다.”

3. 비유적, 문학적 표현으로의 확장

  • 문학이나 언론에서는 강렬한 수사적 강조로 쓰인다.
    • 예: “그날의 폭우는 전대미문의 절망을 쏟아냈다.”
    • 예: “전대미문의 사랑, 그건 오직 한 번뿐인 불꽃이었다.”

전대미문의 유사어

한자어 의미
空前絶後(공전절후)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을 정도로 뛰어남.
前所未有(전소미유) 지금까지 한 번도 있었던 적이 없음.
史上初(사상초) 역사상 처음으로 일어난 일.
破天荒(파천황) 지금까지 없던 일을 처음으로 해냄.

전대미문의 활용 예문

  • “이 폭우는 전대미문의 피해를 남겼다.”
  • “그의 연구 성과는 전대미문의 발견으로 평가받는다.”
  • “전대미문의 스캔들이 정국을 뒤흔들었다.”
  • “전대미문의 기술력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 “그 예술가의 작품은 전대미문의 미학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영어 표현

  • Unprecedented – 전례 없는, 유례 없는
    • 예: This is an unprecedented event in human history.
  • Never heard of before – 들어본 적이 없는
  • First of its kind – 최초의 사례
  • One-of-a-kind – 독보적인, 유일무이한
  • Without precedent – 전례 없이

비슷한 의미의 속담

  • “하늘이 무너질 일이다” – 믿기 어려운 엄청난 사건.
  • “귀신도 놀랄 일” – 너무나 특이하거나 놀라운 일.
  • “세상에 이런 일도 있다” – 상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일.
  • “있을 수 없는 일” – 매우 이례적이거나 비상식적인 사건.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평범무사(平凡無事) – 특별한 일 없이 평온함.
  •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 매일처럼 흔히 있는 일.
  • 천편일률(千篇一律) – 모두가 비슷하여 새로움이 없음.
  • 상투적(常套的) – 늘 반복되어 참신하지 않음.

결론

전대미문(前代未聞)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상식을 넘어서는 충격과 혁신의 순간을 기록하는 언어다.
때로는 참혹한 재난의 상징, 때로는 창조의 불꽃으로,
전대미문은 인류가 경험의 경계를 넘어설 때 등장하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