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두득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0. 27.

種豆得豆(종두득두)
"種(종): 심다", "豆(두): 콩", "得(득): 얻다", "豆(두): 콩"으로,
글자 그대로 “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이는 원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반드시 따른다는 의미로,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인과의 진리를 함축하고 있다.

종두득두의 뜻과 유래

종두득두의 정의

종두득두는 행동이나 원인에 맞는 결과가 필연적으로 나타남을 비유한 말이다.

  • 의미
    • 원인에 따라 반드시 결과가 생긴다.
    • 올바른 노력을 하면 그에 걸맞은 결실을 얻는다.
    • 악한 행동에는 나쁜 결과가, 선한 행동에는 좋은 결과가 따른다.
  • 사용 맥락
    • 노력과 성취,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강조할 때.
    • ‘뿌린 대로 거둔다’는 인생의 교훈을 전하고자 할 때.

종두득두의 유래

이 고사는 중국의 고전 『맹자(孟子)』나 『한서(漢書)』 등에 등장하는 농경적 비유에서 비롯되었다.

  • 농부가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나는 자연의 이치를 빗대어,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도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 ‘種瓜得瓜, 種豆得豆(종과득과, 종두득두)’라는 말로 함께 쓰이는데, “참외를 심으면 참외가 나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는 뜻이다.
  • 이는 “善有善報, 惡有惡報(선유선보, 악유악보)”, 즉 “선을 행하면 선한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한 결과가 따른다”는 동양 윤리사상과 맞닿아 있다.

종두득두의 현대적 의미

인과의 법칙을 강조하는 교훈

  • ‘행동의 결과는 반드시 돌아온다’는 보편적 진리
    • 오늘의 선택이 내일의 결과를 만든다.
    • 예: "그가 지금의 성공을 거둔 것은 종두득두의 결과다."
  • 노력과 결실의 정직한 관계
    • 아무런 노력 없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교훈.
    • 예: "성실하게 공부한 사람만이 좋은 성적을 얻는다. 종두득두다."

도덕적, 윤리적 의미

  • 선과 악의 인과응보
    • 나쁜 행동은 결국 자신에게 돌아온다.
    • 예: "그의 배신은 결국 종두득두로 그 자신을 해쳤다."
  • 공정한 세상의 원리
    • 종두득두는 정의(正義)와 공평(公平)의 개념과도 이어진다.
    •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자업자득(自業自得)’의 원리를 상징한다.

종두득두의 유사어

  • 自業自得(자업자득) – 자신이 한 일의 결과를 스스로 받는다.
  • 因果應報(인과응보) – 선악의 원인에 따라 그 보응이 따른다.
  • 積善之家必有餘慶(적선지가필유여경) – 선한 일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복이 있다.
  • 種瓜得瓜(종과득과) – 참외를 심으면 참외가 나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

종두득두의 활용 예문

  • “그는 젊을 때부터 성실하게 살아 종두득두의 인생을 살고 있다.”
  • “거짓말로 사람을 속인 결과가 결국 종두득두로 돌아왔다.”
  • “노력 없이 성공을 바라는 건 헛된 꿈이다. 세상은 종두득두다.”
  • “선한 마음으로 베풀면 언젠가 그 선의 열매를 맺는다. 종두득두다.”

영어 표현

  • You reap what you sow. – 뿌린 대로 거둔다.
  • As you sow, so shall you reap. – 심은 대로 거두게 된다.
  • Cause and effect. – 원인과 결과.
  •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 한 행동은 결국 자신에게 돌아온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뿌린 대로 거둔다 – 한 일의 결과는 반드시 자신에게 돌아온다.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원인에 따라 정확한 결과가 생긴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자신이 한 대로 대우받는다.
  • 행실이 곧 그 사람의 미래다 – 현재의 행동이 미래를 결정한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無因無果(무인무과) – 원인도 결과도 없는 상태.
  • 偶然(우연) – 명확한 원인 없이 우연히 일어남.
  • 不公不義(불공불의) – 노력이나 공로와 관계없이 불공정한 결과가 따름.

결론

종두득두는 단순한 농경적 비유를 넘어, 인생의 원리이자 우주의 질서를 상징한다.
콩을 심어 콩을 얻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자 인간 사회의 도리다.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이 단순한 진리는,
삶을 책임 있게 살아가야 함을 일깨우는 가장 오래되고도 강력한 교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