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려일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6.

千慮一得(천려일득)
"千(천): 천 번", "慮(려): 생각하다", "一(일): 하나", "得(득): 얻다"
즉, ‘천 번의 생각 중에 한 번은 옳은 것이 있다’라는 뜻이다.
비록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많은 생각 중에는 한두 가지 옳은 생각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타인의 의견을 함부로 무시하지 말아야 함을 일깨우는 고사성어다.

천려일득의 뜻과 유래

천려일득의 정의

천려일득은 비록 평소에는 어리석거나 실수가 많더라도, 여러 번 생각하다 보면 그중 하나쯤은 옳은 판단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 의미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깊이 생각하면 옳은 생각을 할 수 있다.
    • 남의 의견도 경청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 실수 속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는 통찰을 포함한다.
  • 사용 맥락
    • 타인의 아이디어나 조언을 무시하지 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 회의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용할 때 인용된다.
    • 겸손과 포용의 미덕을 상징하는 표현이다.

천려일득의 유래

이 고사는 중국 전국시대의 책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에 나오는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위나라 재상 이사(李斯)가 한 번은 신하와 논쟁을 벌이던 중 이렇게 말했다.

“愚者千慮, 必有一得; 智者千慮, 必有一失.”
“어리석은 자의 천 번 생각 중에도 한 번은 옳은 것이 있고, 지혜로운 자의 천 번 생각 중에도 한 번은 그른 것이 있다.”
이 말은 지혜롭다 하더라도 완벽할 수 없고, 어리석다 하더라도 전부 그르지 않다는 뜻을 담고 있다.
즉, 사람의 지혜는 상대적이며, 겸손한 태도로 서로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는 인간 중심적 사유의 표현이다.

천려일득의 현대적 의미

겸손과 경청의 미덕

천려일득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의견의 가치를 인정하는 포용의 철학으로 확장된다.

  • “아무리 하찮은 말이라도 그 안에 진리가 숨어 있을 수 있다.”
  • 리더나 경영자가 부하 직원의 아이디어를 무시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는 지혜

이 고사성어는 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 실수를 인정하는 태도의 상징이다.

  • 천재도 실수를 하고, 평범한 사람도 옳은 통찰을 가질 수 있다.
  • ‘절대적 옳음’보다는 ‘상대적 지혜’의 가치를 강조한다.

협력과 창의의 시대정신

현대의 조직과 사회는 협업을 통해 성장한다.
천려일득의 정신은 집단지성과 창의의 바탕이 된다.

  • “다양한 의견 속에서 진짜 해답이 태어난다.”
  • “모두가 틀린 것 같아도 그 안엔 진실이 숨어 있다.”

천려일득의 유사어

사자성어 한자
愚者一得(우자일득) 어리석은 자의 한 가지 얻음 천려일득과 거의 같은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도 옳은 생각을 할 때가 있다는 의미
百思一得(백사일득) 백 번 생각하면 한 번 얻는다 여러 번 생각해야 비로소 옳은 결론에 도달함을 의미
三思而行(삼사이행) 세 번 생각하고 행동하라 신중히 숙고한 뒤 행동하라는 교훈적 의미

천려일득의 활용 예문

  • “회의에서 그가 낸 의견은 사소해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천려일득이었다.”
  • “비록 실수가 많지만, 천려일득이라 그의 제안이 큰 도움이 되었다.”
  • “천려일득이라 했듯, 초보자의 말에서도 귀한 통찰이 나올 수 있다.”
  • “어리석은 자의 말이라도 귀 기울이면 천려일득이 있을 수 있다.”

영어 표현

  • Even a fool may sometimes speak wisely – 어리석은 자라도 때로는 지혜롭게 말할 수 있다.
  • A fool’s idea may hit the mark once in a while – 어리석은 자의 생각도 가끔은 옳을 수 있다.
  • No one is wrong all the time – 누구도 항상 틀리지는 않는다.
  • Wisdom can come from anywhere – 지혜는 어디에서든 나올 수 있다.

비슷한 의미의 속담

한국 속담
하늘이 내린 미친 사람도 한 가지 재주는 있다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한 가지쯤은 잘하는 것이 있다는 뜻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신중히 생각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는 교훈
백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반복과 꾸준함 속에서 올바른 결실이 있음을 비유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사자성어
一失足成千古恨(일실족성천고한) 한 번의 실수로 영원히 후회함을 뜻함
過猶不及(과유불급)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 생각이 지나쳐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
輕舉妄動(경거망동) 깊이 생각하지 않고 경솔하게 행동함

결론

천려일득(千慮一得)
“어리석은 자의 천 가지 생각 중에도 한 가지는 옳은 것이 있다”는 겸손과 경청의 철학을 담은 고사성어다.
이는 단순히 지혜와 어리석음을 비교하는 말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배울 점이 있고, 완전한 사람은 없다는 인간적 통찰을 전한다.
현대 사회에서 천려일득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열린 마음으로 타인의 의견을 듣는 태도,
공존의 지혜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여전히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