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려일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20.

千慮一得(천려일득)
“천 번 생각하면 그중 하나쯤은 얻을 만한 생각이 있다”,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옳은 생각이 하나쯤은 나온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때로는 실수가 잦은 사람도 가끔은 옳은 말, 귀한 통찰을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을 담담히 일깨우는 말이다.
수천 번의 헛된 생각 속에 가녀린 진실이 하나 빛나는 순간, 그 순간의 의미를 가볍게 보지 말라는 오래된 지혜가 깃들어 있다.

천려일득의 뜻과 유래

천려일득의 정의

천려일득은 완전하지 않은 사람도 여러 번의 고심 끝에 옳은 판단이나 좋은 의견을 낼 수 있다는 사실을 비유해 말한다.

  • 의미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자주 생각하다 보면 맞는 생각을 할 수 있다.
    • 단점 많은 사람이라도 때때로 빛나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 ‘가끔은 옳다’는 겸허한 인간 이해의 표현.
  • 사용 맥락
    • 늘 실수하는 사람의 말이라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을 때.
    • 다양한 의견 속에서 우연히 가치 있는 판단이 나올 때.
    • 상대의 말에 열린 태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할 때.

천려일득의 유래

천려일득은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에 실린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조나라 장수 인상여(藺相如)와 관련된 기록 속에서, 그는 왕에게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어리석은 자도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하나는 반드시 옳은 것이 있다(愚者千慮 必有一得).”

이는 다양한 의견 속에서 얻어지는 작은 진실의 가치를 인정하라는 뜻으로 전해졌고, 그렇게 천려일득이라는 말이 굳었다.
천 가지 생각이라 하였으나, 그 속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신뢰와 겸손이 숨어 있다.
어둠 속에서도 실핏줄 같은 빛이 태어나는 것처럼, 한 사람의 작은 옳음은 때로 전체를 살리는 힘이 된다.

천려일득의 현대적 의미

열린 경청의 상징

  • 모든 사람의 말 속에 배울 점이 있다
    • 감정에 따라 특정 사람의 의견을 무조건 배제할 필요가 없음을 일깨운다.
    • “한 번의 실수로 전체를 판단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
    • 조직 회의에서도 예상치 못한 의견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 다양한 배경·관점이 모일 때 새로운 해답이 태어난다.

인내와 탐구의 과정

  • 수많은 시도 속에서 하나의 성과가 태어난다
    • 연구·창작·사업 등 장기적 노력이 필요한 분야에서 자주 인용된다.
    • 실패가 많다 해서 의미 없는 것은 아니며, 그 실패들이 결국 하나의 ‘득’을 만든다.

천려일득의 유사어

고사성어 의미
愚者千慮必有一得(우자천려필유일득) 천려일득과 동일한 원문 표현
群疑中有一理(군의중유일리) 많은 의심 속에서도 하나의 이치는 드러난다
百發一中(백발일중) 수많은 시도 중 하나가 성공한다는 뜻

천려일득 활용 예문

  • “그는 실수가 잦지만, 이번 의견만큼은 천려일득이었다.”
  • “여러 사람의 말을 모으다 보면 천려일득처럼 귀한 해답이 나올 때가 있다.”
  • “회의가 길어졌지만, 결국 누군가의 말 한마디가 천려일득이 되어 문제를 풀었다.”

영어 표현

  • Even a fool may sometimes be right – 어리석은 이도 가끔은 맞다
  • A thousand thoughts yield one insight – 여러 생각 끝에 하나의 통찰이 나온다
  • There’s wisdom even in unlikely places – 예상치 못한 곳에도 지혜가 있다
  • One good idea among many – 많은 생각 중 하나의 옳은 생각

비슷한 의미의 속담

  • 돌다리도 두들겨 보면 하나는 맞는다 – 여러 번의 확인 끝에 옳은 판단이 나온다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노력 끝에 성과가 생긴다
  •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의 반대 맥락처럼, 어리석다고 무시하지 말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百慮一失(백려일실) –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한 번의 실수는 있다
  • 독선(獨善) – 타인의 의견을 듣지 않는 태도
  • 편견(偏見) – 사람을 미리 단정 짓고 판단하는 마음
  • 폐쇄적 사고 – 다양한 의견을 배제하는 사고방식

결론

천려일득은 사람을 단정하지 말고, 말 속의 작은 진실이라도 귀 기울이라는 고사성어다.
수많은 생각 중 하나의 옳음은 때로 세상을 열어젖히는 열쇠가 된다.
우리는 누구나 불완전하지만, 그 불완전함 속에서 빛나는 순간이 태어난다.
그 작은 ‘득’을 알아보는 마음이야말로, 세상과 사람을 깊이 이해하는 지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