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려일실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11. 12.

千慮一失(천려일실)“千(천): 천, 많다”, “慮(려): 생각하다”, “一(일): 하나”, “失(실): 실수하다”라는 글자 그대로, “천 번 생각해도 한 번쯤은 실수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아무리 지혜롭고 신중한 사람이라도 실수를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완벽한 존재는 없음을 일깨우는 겸손의 교훈을 담고 있다.

천려일실의 뜻과 유래

천려일실의 정의

천려일실은 많은 생각과 신중한 판단 속에서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실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징한다.

  • 의미
    • 아무리 현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실수를 할 수 있음.
    • 완벽함을 추구하지만, 인간의 한계와 불완전함을 인정해야 함.
    • 타인의 작은 실수를 지나치게 비난하지 말아야 함.
  • 사용 맥락
    • 지도자나 전문가가 드물게 실수했을 때 그를 감싸주는 표현.
    • 자신이나 타인의 판단 착오를 관용적으로 바라볼 때.
    •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겸손의 자세를 말할 때.

천려일실의 유래

사기(史記)』 「촉한세가(蜀漢世家)」에 전해지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촉한의 명재상 제갈량(諸葛亮)이 부하 장수들의 전략을 평가하던 중, 누군가의 판단 실수를 보고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智者千慮, 必有一失(지자천려, 필유일실)”
“지혜로운 자가 천 번을 생각해도, 반드시 한 번은 실수할 때가 있다.”

이는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실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뜻으로,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사고의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천려일실의 현대적 의미

인간적 한계에 대한 이해

  • 완벽을 강요하지 말라
    • 누구에게나 실수는 있다. 중요한 건 그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다.
    • 예: “그의 실수는 천려일실에 불과하니, 지나치게 비난하지 말자.”
  • 리더의 실수도 포용하라
    • 뛰어난 지도자라도 판단 오류를 범할 수 있다.
    • 예: “그의 결정이 잘못된 건 천려일실이었다. 평소의 통찰은 여전하다.”

겸손과 관용의 미덕

  • 타인의 실수를 대하는 태도
    • 천려일실은 타인의 작은 잘못을 감싸주는 너그러움의 말이다.
    • 예: “그는 부하의 실수에 ‘천려일실이야’라며 웃으며 넘겼다.”
  •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지혜
    • 스스로의 실수 앞에서 변명보다 반성을 택하는 태도.
    • 예: “천려일실이라지만,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

현대 사회에서의 교훈

  • 프로페셔널리즘 속의 인간성 회복
    • 기업, 정치, 학문 등 어느 분야에서나 ‘완벽’을 강요하는 분위기 속에서, 천려일실은 인간다움의 숨통을 틔운다.
    • 실수를 허용하지 않는 조직은 결국 창의력과 성장력을 잃는다.

천려일실의 유사어

  • 智者千慮必有一失(지자천려필유일실) – 천려일실의 본래 형태로, 지혜로운 사람도 한 번쯤은 실수한다는 의미.
  • 人誰無過(인수무과) – 사람이라면 누구나 잘못이 있다.
  • 瑕不掩瑜(하불엄유) – 작은 결점이 큰 장점을 가릴 수 없다.

천려일실의 활용 예문

  • “그의 판단 착오는 천려일실에 불과하니, 여전히 신뢰할 만하다.”
  • “완벽한 사람은 없다. 천려일실이라도 인정하고 받아들이자.”
  • “그의 천려일실로 회사에 손해가 났지만, 그동안의 공로를 생각해 관용을 베풀었다.”

영어 표현

  • Even the wisest make mistakes – 아무리 현명한 사람도 실수한다.
  • To err is human – 인간은 누구나 실수한다.
  • Nobody’s perfect – 완벽한 사람은 없다.
  • A slip of wisdom – 현명한 자의 실수.

비슷한 의미의 속담

  • 사람은 완벽할 수 없다 – 누구에게나 결점이 있다.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반복 속에서도 실패와 실수는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뜻함.
  • 하늘 아래 완전한 것은 없다 – 완전무결함은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

반대말 또는 반대 개념

  • 百慮無一失(백려무일실) – 백 번을 생각해도 한 번의 실수도 없다.
  • 무결점(無缺點) – 흠이 없음, 완벽한 상태.
  • 완벽주의(完璧主義) –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태도.

결론

천려일실은 지혜로운 자라도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하라는 인간적 교훈의 고사성어다. 실수를 부끄러워하기보다, 그 안에서 배움을 얻는 태도가 진정한 지혜다. 이 표현은 타인에 대한 관용과 자신에 대한 겸손을 동시에 일깨우며, 불완전함 속에서 성장하는 인간의 본질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