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촌철살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by 아오링고 2025. 5. 9.

寸鐵殺人(촌철살인)은 짧은 말 한 마디, 혹은 아주 간결한 문장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때로는 치명적인 울림이나 깨달음을 주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다. 말은 짧지만 그 뜻은 날카롭고 강렬하여, 마치 짧은 쇠붙이 하나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 사회의 언론, 문학, 논평, 연설 등에서 자주 인용되며, 메시지의 힘을 강조할 때 쓰인다.

한자 풀이

  • 寸(촌): 길이의 단위, 약 3cm
  • 鐵(철): 쇠, 무기
  • 殺(살): 죽이다, 압도하다
  • 人(인): 사람

=> "짧은 쇠붙이로 사람을 죽이다"는 뜻으로, 간결하지만 강력한 말이나 글의 위력을 상징한다.

유래와 배경

《전국책(戰國策)》이나 《한비자(韓非子)》 등 고대 중국의 병법서와 문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실제 어떤 인물이 짧은 말로 군주나 대중을 감동시키거나 상대방을 굴복시켰던 사례에서 비롯되었다. 비록 무력은 아니지만 언어의 힘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대표적인 고사는 "말 한 마디가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우리 속담과도 맥을 같이 한다.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간결한 표현의 위력

  • 장황한 말보다 짧고 핵심적인 문장이 더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음
  • 슬로건, 카피 문구, 연설의 한 구절 등에서 효과적

2. 비판과 풍자의 수단

  • 상대의 허를 찌르는 한 마디로 논쟁이나 상황을 뒤집는 언변
  • 시사 풍자나 사회 비판에서도 자주 사용됨

3. 문학적 표현

  • 시, 수필, 칼럼 등에서 단 한 줄의 문장으로도 독자의 마음을 강하게 흔드는 경우

영어 표현과 해석

  • A word can pierce like a sword – 말 한 마디가 칼처럼 찌를 수 있다
  • Words can cut deeper than swords – 말은 때로 칼보다 더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
  • Lethal brevity – 치명적인 간결함

관련 속담 및 표현

  •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 갚는다: 말의 힘이 얼마나 큰지 강조하는 속담
  • 칼보다 펜이 강하다: 무력보다 지혜와 언어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
  • 한 줄의 진실이 만 마디 거짓을 이긴다: 진심 어린 간결한 말이 압도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의미

유사 개념 및 반대 개념

유사 개념

  • 일언지중(一言之中): 한 마디 말이 정곡을 찌름
  • 함축미(含蓄美): 짧은 표현에 많은 뜻을 담은 아름다움

반대 개념

  • 장황무익(長荒無益): 길기만 하고 쓸모 없는 말
  • 구밀복검(口蜜腹劍): 말은 부드러우나 속은 음흉한 언사

활용 예문

  • "그 정치인의 한 마디는 촌철살인 그 자체였다.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충분했다."
  • "광고 문구가 정말 촌철살인이다. 짧은 문장이지만 제품의 본질을 정확히 꿰뚫고 있다."
  • "그 시인의 한 줄 시는 수많은 문장보다 더 많은 울림을 주었다. 촌철살인이었다."

결론

촌철살인(寸鐵殺人)은 말과 글이 가진 날카로운 힘을 상징한다. 아무리 짧은 말이라도 핵심을 찌르고 진실을 담고 있다면, 그것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무기가 될 수 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군더더기 없는 진실된 한 마디의 힘은 더욱 값지게 느껴진다.

짧지만 진실된 말은 마음을 움직인다. 그것이 촌철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