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과천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改過遷善(개과천선)은 잘못을 고치고 착한 길로 나아간다는 뜻의 고사성어로, 인간이 본인의 과오를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삶을 지향하려는 태도를 강조한다. 윤리적, 종교적, 사회적으로 모두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헌과 담론 속에서 이 개념은 반복되어 왔다.한자 풀이改(개): 고칠 개過(과): 허물 과遷(천): 옮길 천, 옮기다善(선): 착할 선, 선함⇒ "허물을 고쳐 착한 쪽으로 옮긴다"는 의미유래와 배경『예기(禮記)』나 『논어(論語)』 등 유가 경전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공자가 제자들에게 수시로 강조했던 성찰과 교정, 자기수양의 중요성과 맞닿아 있다. 공자는 “지금의 나쁜 습관이나 잘못된 행동을 고치고 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인(仁)을 실천하는 시작”이라고 ..
2025. 5. 10.
수주대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守株待兔(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우연한 행운에 기대어 수동적으로 행동하거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옛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고사성어다.수주대토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守(수): 지키다株(주): 그루터기待(대): 기다리다兔(토): 토끼유래 배경《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송나라 농부가 밭을 갈던 중, 우연히 달려오던 토끼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는 힘든 농사보다 이런 행운을 다시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고, 다음 날부터는 농사를 그만두고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히길 기다린다.하지만 그런 행운은 다시 오지 않았고, 그는 농사도 망치고 생계도 끊기고 말았다...
2025. 5. 8.
상전벽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桑田碧海(상전벽해)는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로, 세상이 너무나 크게 변해버렸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다.상전벽해의 뜻과 유래상전벽해의 정의본래 의미桑(뽕나무), 田(밭), 碧(푸르다), 海(바다)로 구성된 이 표현은, 한때 뽕밭이던 땅이 바다로 변한 것처럼 세상일의 무상함과 급격한 변화를 상징한다.사용 맥락오랜 세월이 지나 사회, 환경, 인생 등이 극적으로 바뀐 상황에서 자주 쓰인다. 자연의 변화는 물론, 문화적·제도적 전환, 인생 역전, 산업 전환 등의 맥락에도 응용된다.상전벽해의 유래이 말은 중국 진나라 때의 도사(道士) 곽박(郭璞)의 말에서 유래한다. 곽박이 동해 용왕을 만나러 갔다가 돌아와 “내가 동해에 갔을 때 그곳은 뽕밭이었는데, 지금은 푸른 바다가 되었구나”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
2025. 5. 8.
각주구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刻舟求劍(각주구검)은 “刻(각): 새기다”, “舟(주): 배”, “求(구): 구하다”, “劍(검): 칼”로 구성된 고사성어다. 문자 그대로는 "배에 칼 빠진 자리를 새겨서 칼을 찾는다"는 뜻으로, 현실의 변화나 상황의 흐름을 무시하고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한다.각주구검의 뜻과 유래각주구검의 정의본래 의미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과거의 방식이나 고정된 생각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사용 맥락현실과 맞지 않는 판단이나, 유연하지 못한 사고방식을 지적할 때 사용됨각주구검의 유래『여씨춘추(呂氏春秋)』에 실린 이야기로,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다가 칼을 물에 빠뜨리자, 칼이 떨어진 지점을 배에 새긴 후, 배가 멈춘 뒤 그 자리를 따라 물속을 찾았다는 내용이다.“楚人有涉江者,其劍自舟中墜..
2025. 5. 3.
우공이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愚公移山(우공이산)은 “愚(우): 어리석다”, “公(공): 노인”, “移(이): 옮기다”, “山(산): 산”으로 구성되며, 문자 그대로는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끈기와 노력으로 불가능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쓰인다.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우공이산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언젠가는 이루어진다는 뜻.사용 맥락장기적 인내와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할 때, 혹은 비현실적이라 여겨지는 목표라도 실현할 수 있음을 말할 때 사용됨.우공이산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인 『열자(列子)』 《탕문편(唐門篇)》에 실린 이야기에서 비롯된다.어느 날, 90세의 노인 우공이 두 산이 집 앞을 가로막고 있어 ..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