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비판2

후안무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厚顏無恥(후안무치)는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도덕적 규범이나 사회적 양심을 어기고도 전혀 수치심을 느끼지 않을 때 쓰인다. 현대 사회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말로, 특히 정치·경제·사회 분야의 부도덕한 인물이나 사건을 비판할 때 강한 어조로 사용된다. 단순히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부끄러워해야 할 상황에서조차 오히려 당당한 태도를 취하는 파렴치한 상태를 이른다. 인간의 최소한의 양심과 도덕적 기준을 벗어난 이들의 행태를 지적할 때, 이 표현만큼 적확한 사자성어는 드물다.한자 풀이厚(후): 두껍다顏(안): 얼굴, 낯無(무): 없다恥(치): 부끄러움⇒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염치없는 뻔뻔함을 표현한다.유래와 배경‘후안무치’라는 표현은.. 2025. 6. 13.
적반하장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賊反荷杖(적반하장)은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소리치거나 적반하장격의 태도를 취하는 상황을 경계하는 고사성어다. 논리나 정의를 무시하고, 자신의 책임을 외면한 채 오히려 피해자에게 공격적으로 나서는 부도덕한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賊(적): 도둑 적反(반): 도리어 반荷(하): 멜 하, 짊어질 하杖(장): 지팡이 장, 몽둥이 장⇒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전국책(戰國策)』 등 중국 고전에는 죄를 지은 자가 반성하기는커녕 도리어 남을 공격하고 죄를 떠넘기는 일이 자주 언급된다. '적반하장'은 그런 사례에서 유래한 말로, 정의가 무너진 상황에서 오히려 가해자가 목소리를 높이는 역전된 상황을 풍자한다.이는 단순히 개인 간..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