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분수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安分守己(안분수기)는 "安(편안할 안): 편안하다", "分(나눌 분): 자신의 분수", "守(지킬 수): 지키다", "己(몸 기): 자기 자신"이라는 글자 그대로, "자기 분수를 지키며 편안히 지낸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욕심을 부리지 않고 자신의 처지와 역할을 지키며 살아가는 태도를 나타낼 때 쓰이는 표현이다.안분수기의 뜻과 유래안분수기의 정의안분수기는 자신의 위치와 처지를 벗어나지 않고, 욕심을 부리지 않으며 차분히 살아가는 태도를 의미한다.의미자신의 분수나 처지를 알고 그에 맞게 행동함.욕심을 부리지 않고 만족하며 살아가는 삶의 자세.사회적 조화와 내적 평온을 추구하는 생활 태도.사용 맥락재산이나 권력을 탐하지 않고 안정된 삶을 선택할 때.직장이나 가정에서 맡은 역할에 충실할 때.지나친 ..
2025. 11. 16.
근주자적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近朱者赤(근주자적)"近(근): 가까이하다", "朱(주): 붉은빛", "者(자): 사람", "赤(적): 붉다"즉,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진다’는 뜻으로,사람은 어떤 환경이나 교제하는 사람에 따라 그 성품이나 행동이 변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다.근주자적의 뜻과 유래근주자적의 정의근주자적은 ‘좋은 사람과 가까이하면 자연히 좋은 영향을 받고, 나쁜 사람과 가까이하면 나쁜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를 가진다.이는 인간의 성품이 선천적인 것만이 아니라, 환경과 관계 속에서 후천적으로 형성된다는 철학적 관점을 담고 있다.의미붉은 색을 가까이하면 자신도 붉게 물든다는 비유.주변 환경이나 교우 관계가 한 사람의 성격과 행실에 깊은 영향을 준다는 뜻.‘환경이 곧 사람을 만든다’는 인생의 진리를 압축한 표현.사용 맥락..
2025. 11. 11.
과전불납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는"瓜(과): 오이밭", "田(전): 밭", "不(불): 아니하다", "納(납): 들여놓다", "履(리): 신"이라는 뜻으로,직역하면 “오이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는 의미이다.이는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하지 말라는 교훈을 담은 고사성어다.과전불납리의 뜻과 유래과전불납리의 정의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는자신의 행동이 오해를 살 만한 상황을 피하라는 뜻이다.아무리 결백하더라도, 의심받을 가능성이 있다면 그런 행동 자체를 삼가야 한다는 교훈을 전한다.의미오이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즉, 남에게 불필요한 의심을 사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경계.외견상 잘못으로 비칠 수 있는 행동은 스스로 피해야 함.사용 맥락공직자나 지도자가 도덕적 의심을 받을 행동을 경계할 때.일상에서는 오..
2025. 11. 10.
이열치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以熱治熱(이열치열)은"以(이): 써서", "熱(열): 열로", "治(치): 다스리다", "熱(열): 열"이라는 뜻으로,직역하면 "열로써 열을 다스린다"는 의미다.즉, 강한 열에는 더 강한 열로 맞선다는 뜻으로,같은 성질의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강한 힘에는 그에 맞먹는 힘으로 대응함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다.이열치열의 뜻과 유래이열치열의 정의이열치열은 ‘강한 열이나 고통을 그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한다’는 의미의 표현으로,상황에 따라 두 가지로 해석된다.의학적 의미병의 열을 또 다른 열로 다스린다는 한의학적 원리에서 유래했다.즉, 열성 질환에 따뜻한 약재를 써서 땀을 내어 병을 다스리는 방법이다.예: 여름에 뜨거운 국물을 먹으며 더위를 해소하는 행위.비유적 의미어려움이나 강한 자극에는 같은 강도로 맞서는 ..
2025. 10. 25.
여리박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如履薄氷(여리박빙)은“如(여): 같다, 마치 ~와 같다”“履(리): 밟다, 디디다”“薄(박): 얇다, 엷다”“氷(빙): 얼음”이라는 글자 그대로,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매우 위태롭고 아슬아슬한 상황에 놓여 신중하게 행동해야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여리박빙의 뜻과 유래여리박빙의 정의여리박빙은 극도로 위태로운 상황에서 조심스럽게 처신해야 하는 태도를 묘사하는 표현이다.의미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낸다.작은 실수나 방심이 곧 큰 화를 불러올 수 있는 상황을 가리킨다.세심한 주의와 신중한 태도를 요구하는 삶의 자세를 강조한다.사용 맥락정치적,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을 묘사할 때.중요한 업무나 프로젝트가 실패 직전의 위기에 놓였을 때.인간관계에서 말이나 행동..
2025. 10. 4.
인지상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人之常情(인지상정)은“人(인): 사람, 之(지): ~의, 常(상): 항상, 情(정): 감정” 이라는 글자 그대로,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감정이나 심리 상태를 의미하는 고사성어다.이는 특정한 개인의 특수한 성격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과 반응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인지상정의 뜻과 유래인지상정의 정의인지상정은 인간의 마음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감정을 가리키며, 이를 통해 사람의 기쁨, 슬픔, 분노, 연민, 욕망 등이 모두 자연스러운 것임을 인정한다.의미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자연스러운 감정.인간 보편의 정서와 심리를 나타내는 말.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반응을 설명할 때 쓰임.사용 맥락누군가 잘못하거나 약점을 보였을 때, 그것을 사람이라면 당연히 이해할 수..
2025.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