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두철미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徹頭徹尾(철두철미)는“徹(철): 꿰뚫다”, “頭(두): 머리”, “徹(철): 꿰뚫다”, “尾(미): 꼬리”라는 뜻으로,‘처음부터 끝까지 꿰뚫는다’, 즉 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고 철저하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이다.철두철미의 뜻과 유래철두철미의 정의철두철미는 어떤 일이나 생각을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히 밀고 나가는 태도를 뜻한다.어떤 사소한 부분에도 허술함이 없으며, 원칙이나 신념을 일관되게 지키는 사람의 성품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인다.의미일의 처음과 끝이 완벽하게 일치하며 흐트러짐이 없음.목표나 원칙을 끝까지 지켜내는 태도.철저하고 일관된 사고방식의 상징.사용 맥락성실하고 꼼꼼한 사람을 칭찬할 때.계획이나 원칙을 흔들림 없이 지키는 태도를 표현할 때.책임감 있는 행동이나 확고한 의지를 나타낼 때.철두..
2025. 11. 8.
주마간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走馬看山(주마간산)은“走(주): 달리다”, “馬(마): 말”, “看(간): 보다”, “山(산): 산”이라는 글자 그대로,“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라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이 표현은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면 자세히 볼 수 없고, 그저 겉모습만 스쳐 지나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주마간산은 사물이나 현상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만 대충 훑어보는 태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오늘날에도 겉핥기식 공부, 형식적인 업무 태도, 피상적 인간관계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자주 인용되는 교훈적인 성어다.주마간산의 뜻과 유래주마간산의 정의주마간산은 단순히 산을 바라보는 상황을 넘어, 사물의 본질을 놓치고 겉만 보는 태도를 풍자적으로 표현한다.의미말 위에서 달리며 보는 산처럼, 피상적 ..
2025. 9. 2.
주경야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晝耕夜讀(주경야독)은 문자 그대로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실하고 꾸준히 학문에 힘쓰는 자세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생계를 위해 낮에는 노동을 하고, 밤에는 등불 아래서 학문에 정진하는 모습은 고된 현실을 딛고자 하는 자기계발과 노력의 상징이다.한자 풀이晝(주): 낮耕(경): 밭을 갈다夜(야): 밤讀(독): 책을 읽다⇒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독서한다"는 뜻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특정 인물의 일화보다는 중국 고대 유학자들의 삶의 태도에서 비롯된 보편적 이상을 담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는 후한(後漢)의 인물인 송홍(宋弘)이 이와 비슷한 삶을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벼슬하지 않고 시골에서 주경야독하며 학문을 익혔다.또한 《한서(漢書)》나 《..
2025.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