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전불납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는"瓜(과): 오이밭", "田(전): 밭", "不(불): 아니하다", "納(납): 들여놓다", "履(리): 신"이라는 뜻으로,직역하면 “오이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는 의미이다.이는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하지 말라는 교훈을 담은 고사성어다.과전불납리의 뜻과 유래과전불납리의 정의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는자신의 행동이 오해를 살 만한 상황을 피하라는 뜻이다.아무리 결백하더라도, 의심받을 가능성이 있다면 그런 행동 자체를 삼가야 한다는 교훈을 전한다.의미오이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즉, 남에게 불필요한 의심을 사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경계.외견상 잘못으로 비칠 수 있는 행동은 스스로 피해야 함.사용 맥락공직자나 지도자가 도덕적 의심을 받을 행동을 경계할 때.일상에서는 오..
2025. 11. 10.
조변석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朝變夕改(조변석개)는 "朝(조): 아침", "變(변): 변하다", "夕(석): 저녁", "改(개): 바꾸다"라는 뜻으로,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바꾼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이는 하루에도 몇 번씩 생각이나 행동이 변하는 변덕스러움을 비유하는 표현이다.조변석개의 뜻과 유래조변석개의 정의조변석개는 의견이나 결정이 일정하지 않고, 자주 바뀌는 사람이나 태도를 비유한다.의미생각이나 입장을 하루에도 몇 번씩 바꾸는 변덕스러운 성향.약속이나 방침을 쉽게 뒤집는 불신의 태도.일관성이 없는 정치나 행정을 풍자할 때도 사용된다.사용 맥락지도자나 상사의 방침이 자주 바뀔 때.연인의 감정이 하루에도 여러 번 변할 때.계획을 세워도 금세 수정하는 우유부단한 사람을 지적할 때.조변석개의 유래조변석개는 중국의 역사서 ..
2025. 11. 7.
면종복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面從腹背(면종복배)는“面(면): 얼굴”, “從(종): 따르다”, “腹(복): 배”, “背(배): 등지다”라는 뜻으로,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반하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다.즉, 앞에서는 따르고 뒤에서는 배신하는 이중적인 사람의 행태를 풍자한다.면종복배의 뜻과 유래면종복배의 정의면종복배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인 태도를 비유한 말이다.말로는 순종하고 태도로는 공손하지만, 속으로는 반감을 품고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의미한다.의미겉으로는 따르지만 속으로는 따르지 않음겉과 속이 다른 이중성, 위선의 상징진심 없는 복종, 가식적인 충성사용 맥락상사나 권력자 앞에서는 순종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뒤에서는 비난하는 경우친구 앞에서는 친한 척하면서 뒤에서는 험담하는 경우정치나 조직 내에서 겉치레로만 충성심을..
2025. 11. 6.
금란지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金蘭之契(금란지계)는"金(금): 금", "蘭(란): 난초", "之(지): ~의", "契(계): 굳은 맹세, 약속"이라는 글자 그대로,금처럼 굳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과 약속을 뜻하는 고사성어다.말하자면, 마음과 마음이 서로 닿아 평생의 신뢰를 나누는 벗을 가리킨다.금란지계의 뜻과 유래금란지계의 정의금란지계는 변하지 않는 우정, 깨지지 않는 의리, 향기처럼 오래 스며드는 신뢰를 의미한다.의미서로의 마음이 굳고 변치 않는 우정어려울 때 드러나는 진짜 동행오래 함께하며 더욱 깊어지는 신뢰사용 맥락오랜 친구를 표현할 때고난 속에서도 관계가 무너지지 않을 때“말보다 마음”으로 이어지는 인연을 가리킬 때금란지계의 유래금란지계는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 등장한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
2025.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