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지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糟糠之妻(조강지처)는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 어려움을 견딘 아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함께한 배우자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교훈을 담은 고사성어이다. 현대에는 부부 간의 신의와 의리를 상징하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한자 풀이糟(조): 술지게미 조糠(강): 쌀겨 강之(지): ~의 (관형격 조사)妻(처): 아내 처⇒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한 아내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따르면, 후한의 광무제(光武帝)가 친구 송홍(宋弘)에게 높은 관직을 제안하며, 새로운 혼인을 주선하려 하자 송홍은 이렇게 대답했다:“貧賤之知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가난하고 천할 때의 지기는 잊을 수 없고, 조강을 먹던 아내는 내쫓을 수 없습니다.”이 말에서 ‘조강지처’라는 표현이 유래하였다. 송홍은 출세 후에도 과거의 고..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