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3

동상이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同牀異夢(동상이몽)은 겉으로는 같은 입장이나 환경에 있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각자의 속셈이나 생각이 전혀 다른 경우를 일컫는다. 주로 협력 관계나 공동체 속에서 겉과 속이 다른 태도, 혹은 명분과 실제가 어긋나는 상황을 비판하거나 설명할 때 사용된다.한자 구성同(같을 동): 함께함, 동일함을 의미한다.牀(평상 상): 침대, 즉 잠자리를 뜻한다.異(다를 이): 다르다는 뜻.夢(꿈 몽): 꿈, 마음속 생각을 의미.→ "같은 자리에 누워서도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이다.유래와 배경‘동상이몽’은 『설원(說苑)』이나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등 고대 중국의 고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국시대의 혼란한 정치적 동맹 관계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전국시대, 제나라와 조나라가 연합하여.. 2025. 6. 11.
杞憂 기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杞憂(기우)는 아무 근거 없는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실제로는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두고 미리 불안해하거나 걱정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말이다. 이 표현은 사람의 심리적 불안정성을 풍자하면서, 현실과 가능성을 구분할 수 있는 냉철한 사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한자 풀이杞(기): 중국 고대의 작은 나라 이름, 기나라憂(우): 근심, 걱정⇒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유래와 배경이 말은 『열자(列子)』 천서편(天瑞篇)에 등장한다. 기(杞)나라에 사는 한 사람이 하늘이 무너져 내리고 땅이 꺼질까 두려워 밤낮으로 걱정하며 살아갔다. 그는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도 불안에 빠뜨렸는데, 어떤 이가 “하늘은 기체이며 무너질 수 없고, 땅은 실체이므로 꺼질 수 없다”고 설명해주.. 2025. 6. 8.
갈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葛藤(갈등)은 본래 칡(갈)과 등나무(등)가 서로 얽히고 엉킨 모습을 가리키는 말로, 생각, 감정, 이해관계 등이 얽혀 충돌하고 대립하는 상태를 뜻한다. 오늘날에는 개인의 내면적인 갈등에서부터 사람 간의 대립, 사회적 긴장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개념이다.한자 풀이葛(갈): 칡藤(등): 등나무=> 칡과 등나무는 모두 덩굴식물로, 서로 감고 얽히며 자라나는 특징을 지닌다. 이 이미지에서 유래해 갈등은 풀기 힘든 얽힘, 끊임없는 충돌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유래와 배경중국 고전에서는 '갈등'이라는 단어가 사물이나 상황이 서로 얽혀 풀리지 않는 난관의 비유로 등장하며, 이후 사람 사이의 대립이나 내면적 모순을 지칭하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본래는 식물의 생태에서 유추한 자연 비유였으나, 시간이 흐르며 인간 관계..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