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선3

구밀복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口蜜腹劍(구밀복검)은 입으로는 친절하고 부드럽게 말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마음을 품은 사람의 위선적인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겉과 속이 다르고, 겉으론 친절하지만 실상은 음흉한 사람의 태도를 날카롭게 꼬집는다.한자 풀이口(입 구): 입蜜(꿀 밀): 꿀腹(배 복): 배劍(칼 검): 칼⇒ 입에는 꿀이 있지만, 배 속에는 칼이 있다 – 겉으로는 달콤한 말로 속이지만 속셈은 해치려는 악의가 숨어 있음유래와 배경《신당서(新唐書)》에 나오는 말이다. 당나라 현종 때 유명한 권신 이임보(李林甫)가 늘 상냥한 얼굴과 부드러운 말로 사람들을 대했지만, 속으로는 모함하고 제거할 마음을 품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의 위선을 일컬어 "입에는 꿀, 배에는 칼(口蜜腹劍)"이라 평하였다.이 표현은 겉다르고 속다른 간신, 위선.. 2025. 6. 1.
표리부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表裏不同(표리부동)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속마음이 다르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신뢰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적 윤리관에서 비롯된 말로, 인간관계나 정치, 사회적 상황에서 자주 언급된다.한자 풀이表(겉 표): 겉모습, 외면裏(속 리): 속마음, 내면不(아닐 부): 아니다, 부정同(같을 동): 같다, 일치하다⇒ 겉과 속이 같지 않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지칭함.유래와 배경‘표리부동’은 고사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지칭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중국의 역사서나 유교 경전, 특히 『논어』와 『맹자』 같은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선과 진정성에 대한 경계로 자주 사용되었다.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언행일치(言行一.. 2025. 5. 23.
사이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似而非(사이비)는 겉으로는 진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즉 겉모양만 흉내 낸 가짜를 일컫는 고사성어다. 외견상으로는 그럴듯해 보이나 본질이나 진실에서 벗어난 사물, 주장, 사람, 사상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似(사): 닮다, 비슷하다而(이): ~하지만, 그리고非(비): 아니다, 거짓되다=> '비슷하나(似) 실은(而) 아님(非)'이라는 의미유래와 배경似而非는 특정한 역사적 일화에 기반한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공자(孔子)의 논어나 중국 고대 철학서들에서 유사한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신의 주장이나 신념이 진리처럼 보이도록 포장하지만, 실제로는 도리에 맞지 않거나 거짓된 경우를 경계하는 문맥에서 사용된다.가짜 도(道), 가짜 지혜, 가짜 신앙 등 본질을 외면한 겉모양만의 위선과 왜곡을..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