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교5

근묵자흑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近墨者黑(근묵자흑)은 먹을 가까이 하면 자신도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을 가까이하면 그 악영향을 피하기 어렵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 환경이나 인간관계가 한 사람의 성품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고하는 말이다.한자 풀이近(가까울 근): 가까이하다墨(먹 묵): 먹, 먹물者(사람 자): ~하는 사람黑(검을 흑): 검다, 물들다⇒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중국 한나라의 사상가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의 「잡언편」에 등장한다.“近朱者赤, 近墨者黑(근주자적, 근묵자흑)”붉은 색을 가까이하면 붉어지고,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주변 환경에 따라 성격과 습성이 바뀐다는 교훈이다. 군자는 반드시 좋은 벗을 가까이하고, 악한 자와는 멀리해야 한다는 유.. 2025. 5. 27.
不惑 불혹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不惑(불혹)은 공자(孔子)가 『논어(論語)』에서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말한 표현으로, 사람이 마흔이 되어 세상의 이치에 밝고, 흔들리지 않는 정신적 경지에 이른 상태를 뜻한다. 고정된 사자성어라기보다 유교 문화에서 인생의 한 단계를 정의하는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한자 풀이不(아닐 불): 아니다, 부정惑(미혹할 혹): 의심하거나 마음이 흔들림⇒ 불혹은 "마음이 미혹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외부의 유혹이나 혼란에 쉽게 휘둘리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유래와 배경『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는 자신의 인생 단계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吾十有五而志於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자립하였으며, 마흔에 미혹되지 않았고, 쉰에 천명을 알았다.. 2025. 5. 24.
중과부적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衆寡不敵(중과부적)은 많은 수(무리)는 적은 수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현실적인 전력 차이나 세력 차이 앞에서는 아무리 용기나 전략이 있어도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주로 상황의 열세나 객관적인 불리함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전략적 판단과 실리를 중시하는 유교적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한자 풀이衆(무리 중): 많다, 다수寡(적을 과): 적다, 소수不(아닐 부): 아니다, 불가능하다敵(대적할 적): 맞서다, 대항하다⇒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은 맞서 싸울 수 없다", 즉 다수에 소수가 맞서면 불리하다는 의미.유래와 배경『맹자(孟子)』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맹자가 전쟁의 본질과 승패에 대해 설명하며 언급했다. 그는 병법이나 용맹이 아무리 뛰어나도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을.. 2025. 5. 23.
인과응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因果應報(인과응보)는 "원인(因)과 결과(果)에 따라 반드시 응보(應報)가 따른다"는 의미로, 사람의 모든 행위에는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따른다는 도덕적ㆍ철학적 원리를 담고 있는 사자성어다. 불교, 유교, 도교 등 동양 사상에서 중심 개념으로 자리 잡아온 이 말은 선한 행위에는 복이, 악한 행위에는 화가 따른다는 인식의 근거가 된다.한자 풀이因(인): 원인, 까닭果(과): 결과, 열매應(응): 응하다, 반응하다報(보): 보답, 갚다=> 원인과 결과가 상응하여 보답된다는 의미유래와 배경불교 경전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특히 『법구경(法句經)』, 『유마경(維摩經)』 등에서 이 개념이 강조된다. 유교에서도 『논어』와 『맹자』 등에서 도덕적 행위의 결과에 대한 응보의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예를 들어 불교.. 2025. 5. 9.
사필귀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事必歸正(사필귀정)은 “事(사): 일”, “必(필): 반드시”, “歸(귀): 돌아간다”, “正(정): 바름”이라는 구성으로, 글자 그대로는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방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일시적으로 부정과 억울함이 승리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정의와 진실이 드러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사필귀정의 뜻과 유래사필귀정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상황이 혼란스럽거나 부정의가 판치는 듯해도, 결국 모든 일은 옳은 방향으로 흐른다.진실과 정의는 시간이 지나 반드시 드러난다.사용 맥락사회 정의, 사법 판단, 역사 평가 등에서 자주 인용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을 위로하거나, 정의 실현을 신뢰할 때 사용사필귀정의 유래‘사필귀정’은 특정 문헌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라기보다는, 유교적 정의관에 기반한 사자성어로, 조선 후기 문..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