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정신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昏定晨省(혼정신성)은 저녁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부모의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과 정성을 일상 속에서 실천하는 태도를 상징하는 고사성어이다.한자 풀이昏(어두울 혼): 해가 진 저녁定(정할 정): 정돈하다, 돌보다晨(새벽 신): 아침省(살필 성): 살피다, 돌보다⇒ 저녁에는 잠자리를 돌보고, 아침에는 안부를 묻는다는 뜻유래와 배경『예기(禮記)』의 「단궁하(檀弓下)」편에서 유래한 말로, 효도의 이상적인 실천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표현이다. 유가 전통에서는 ‘효’를 인간 관계의 근본으로 보았으며, 하루의 시작과 끝에 부모를 살피는 것은 단순한 의례를 넘어 일상적인 도덕의 구현이었다.이 고사성어는 겉치레가 아닌 꾸준하고 지속적인 효도의 자세를 강조하며, 단순히 물질적 보살..
2025. 5. 31.
표리부동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表裏不同(표리부동)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속마음이 다르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신뢰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적 윤리관에서 비롯된 말로, 인간관계나 정치, 사회적 상황에서 자주 언급된다.한자 풀이表(겉 표): 겉모습, 외면裏(속 리): 속마음, 내면不(아닐 부): 아니다, 부정同(같을 동): 같다, 일치하다⇒ 겉과 속이 같지 않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지칭함.유래와 배경‘표리부동’은 고사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지칭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중국의 역사서나 유교 경전, 특히 『논어』와 『맹자』 같은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선과 진정성에 대한 경계로 자주 사용되었다.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언행일치(言行一..
2025.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