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별2

구곡간장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九曲肝腸(구곡간장)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깊은 슬픔과 비통함을 묘사하는 고사성어이다. '아홉 번이나 굽은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비유적으로 마음속 고통이 꼬이고 또 꼬여 참을 수 없는 아픔이 됨을 뜻한다.한자 풀이九(구): 아홉曲(곡): 굽을 곡, 휘어진다는 뜻肝(간): 간장, 간腸(장): 창자⇒ “아홉 번이나 굽은 간과 창자” → 깊고 복잡한 슬픔을 비유함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구체적인 고사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한문 문학에서 애절한 정서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 비유이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시가에서 슬픔과 회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데 자주 등장한다.고대에는 간과 창자가 감정의 자리로 여겨졌으며, 간이 아프다는 말은 곧 정서적으로 큰 충격이나 슬픔을 겪었을 때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 ‘.. 2025. 5. 10.
회자정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會者定離(회자정리)는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진다"는 뜻의 불교계 고사성어로, 모든 인연에는 끝이 있으며 그 이별은 자연스럽고 필연적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사람 사이의 만남과 이별뿐 아니라, 세상 모든 인연과 현상이 무상함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집착을 내려놓고 평온한 마음을 갖게 하는 데 뜻이 있다.한자 풀이會(회): 만날 회者(자): 사람 자定(정): 반드시 정, 정해질 정離(리): 헤어질 리⇒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이별하게 된다"는 의미.유래와 배경회자정리는 『잡아함경(雜阿含經)』, 『열반경(涅槃經)』 등 불교 경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이다. 석가모니가 제자들과의 이별을 예고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법한 내용에서 비롯되었다:“會者定離, 生者必滅(생자는 반드시 죽고,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진..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