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유내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外柔內剛(외유내강)은"外(외): 겉, 바깥", "柔(유): 부드럽다", "內(내): 속, 안", "剛(강): 굳세다"라는 글자 그대로, 겉으로는 온화하고 부드러워 보이지만, 내면에는 강인한 의지와 불굴의 정신을 지닌 사람을 뜻하는 고사성어다.외유내강의 뜻과 정의외유내강은 겉모습의 온화함과 내면의 강인함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상을 나타낸다.의미외적으로는 유순하고 부드러워 보이나, 내적으로는 굳센 기개를 간직함.강인함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은연중에 발휘하는 성격.겉과 속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잡힌 인격의 상징.사용 맥락부드러운 태도로 타인을 대하지만, 원칙과 신념을 결코 굽히지 않는 인물에 대한 평가.여성의 인격적 장점을 찬미할 때 자주 쓰임.지도자나 리더십을 지닌 인물의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할 때 사용됨...
2025. 9. 11.
면종복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面從腹背(면종복배)는"面(면): 얼굴", "從(종): 따르다", "腹(복): 배", "背(배): 등"즉, 겉으로는 따르는 체하지만 속으로는 등을 돌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이는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 이중적인 마음가짐을 비판적으로 드러낼 때 사용된다.면종복배의 뜻과 정의면종복배의 정의면종복배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속으로는 반대하거나 배반하려는 마음을 품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속으로는 따르지 않음.내면과 외면이 다른 위선적 태도.배반의 마음을 감추고 기회만 노리는 행위.사용 맥락권력자 앞에서 겉으로는 충성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신을 도모할 때.상사나 윗사람 앞에서 순종하는 말만 하면서 뒤에서는 불평과 비난을 늘어놓을 때.겉치레와 아부로 자리를 지키려는 ..
2025. 9. 10.
사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蛇足(사족)은"蛇(사): 뱀", "足(족): 발"이라는 글자로,곧 “뱀에게 발을 그린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다.이는 쓸데없는 것을 덧붙여 오히려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쓰인다.사족의 뜻과 유래사족의 정의사족은 본래 필요하지 않은 것을 굳이 덧붙여서,오히려 전체의 조화를 해치거나 본질을 손상하는 행위를 가리킨다.의미꼭 필요하지 않은 군더더기를 더함.지나친 욕심이나 과도한 행동으로 일을 망치는 상황.불필요한 수식, 말,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사용 맥락글이나 그림에서 지나친 장식을 넣었을 때.이미 충분한 설명에 불필요한 말을 덧붙였을 때.성취한 일을 더 욕심내다가 오히려 실패했을 때.사족의 유래사족의 고사는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어느 날, 제사를 지내고 남은 술 한 병을..
2025. 9. 8.
유유상종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類類相從(유유상종)은 “같은 부류끼리 서로 어울린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로, 사람이나 사물 등이 성향이나 특징이 비슷한 무리끼리 자연스럽게 모이고 사귀는 현상을 비유한다.유유상종의 뜻과 정의정의와 의미類類相從(유유상종)은 ‘같은 종류끼리 서로 따르고 좇는다’, ‘비슷한 사람 혹은 사물끼리 자연스럽게 친해진다’는 뜻을 가진다.주로 비슷한 성품이나 성격, 가치관,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모습을 설명한다.실생활에서 “끼리끼리 논다”, “초록은 동색” 등과 같은 의미로 흔히 사용된다.사용 맥락우정을 맺거나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할 때,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과 자주 어울리는 현상.‘그의 친구를 보면 그 사람을 안다’처럼, 주변 사람을 통해 개인의 성향이나 가치관을 유추하는 데에도 활용된다.유래와..
2025. 9. 3.
고립무원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孤立無援(고립무원)은“孤(고): 외롭다, 홀로”“立(립): 서다, 서 있다”“無(무): 없다”“援(원): 도움, 원조”라는 글자 그대로, “외롭게 서서 도와줄 사람이 전혀 없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어려움에 처했지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하는 절망적인 상황을 표현할 때 쓰인다.고립무원의 뜻과 유래고립무원의 정의고립무원은 사방이 막혀 의지할 곳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의미외롭고 의지할 곳이 없는 상태.도움을 청할 이가 전혀 없는 곤궁한 상황.사회적·정치적·군사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처지.사용 맥락전쟁터에서 지원군이 없는 고립된 군사.사회적 관계가 단절되어 홀로 남겨진 사람.정치나 조직 내에서 완전히 고립된 지도자나 집단.고립무원의 유래고립무원은 고대 중국 병법이나 역사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2025. 9. 2.
주마간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走馬看山(주마간산)은“走(주): 달리다”, “馬(마): 말”, “看(간): 보다”, “山(산): 산”이라는 글자 그대로,“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라는 뜻을 지닌 고사성어다.이 표현은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면 자세히 볼 수 없고, 그저 겉모습만 스쳐 지나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주마간산은 사물이나 현상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만 대충 훑어보는 태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오늘날에도 겉핥기식 공부, 형식적인 업무 태도, 피상적 인간관계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자주 인용되는 교훈적인 성어다.주마간산의 뜻과 유래주마간산의 정의주마간산은 단순히 산을 바라보는 상황을 넘어, 사물의 본질을 놓치고 겉만 보는 태도를 풍자적으로 표현한다.의미말 위에서 달리며 보는 산처럼, 피상적 ..
2025.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