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화만사성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은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가족 간의 평화롭고 단란한 분위기가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성공의 기반이 된다는 철학을 담은 고사성어이다. 일상의 평안과 삶의 균형은 결국 가장 가까운 곳, '가정'에서 비롯된다는 통찰을 제공한다.한자 풀이家(가): 집 가和(화): 화목할 화萬(만): 일만 만, 모든 것事(사): 일 사成(성): 이룰 성⇒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유래와 배경이 고사성어는 특정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이라기보다는, 동양 전통 윤리의 핵심 가치인 가정의 조화와 인륜의 기초를 압축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유교 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수가치국(修家治國)"이라는 표현처럼 가정을 다스림으로써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는 사상이 강조되었으며, ‘가화..
2025. 5. 15.
문전성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門前成市(문전성시)는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라는 뜻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매우 많아 집 앞이 마치 시장처럼 북적이는 상황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특히, 인기가 높거나 권세가 있을 때 주변에 사람들이 몰려드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한자 풀이門(문): 문 문前(전): 앞 전成(성): 이룰 성市(시): 시장 시⇒ 집 문 앞이 사람들로 붐벼 마치 시장처럼 되다유래와 배경『한서(漢書)』 「장탕전(張湯傳)」에 나오는 표현으로, 한나라의 관리 장탕이 권세를 떨칠 때 그의 집 앞이 찾아온 손님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장탕이 실각하자, 그 많던 방문객들이 자취를 감추었고, 당시의 상황을 “문전성시(門前成市)”와 “문전참라(門前斬蘿)”로 대비해 표현했다. 이 일화는 인간관계의 이해득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
2025. 5. 15.
조강지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糟糠之妻(조강지처)는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 어려움을 견딘 아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함께한 배우자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교훈을 담은 고사성어이다. 현대에는 부부 간의 신의와 의리를 상징하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한자 풀이糟(조): 술지게미 조糠(강): 쌀겨 강之(지): ~의 (관형격 조사)妻(처): 아내 처⇒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한 아내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 따르면, 후한의 광무제(光武帝)가 친구 송홍(宋弘)에게 높은 관직을 제안하며, 새로운 혼인을 주선하려 하자 송홍은 이렇게 대답했다:“貧賤之知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가난하고 천할 때의 지기는 잊을 수 없고, 조강을 먹던 아내는 내쫓을 수 없습니다.”이 말에서 ‘조강지처’라는 표현이 유래하였다. 송홍은 출세 후에도 과거의 고..
2025. 5. 14.
반포지효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反哺之孝(반포지효)는 자식이 자라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자식이 자라 부모에게 먹이를 되돌려 준다"는 의미다. 효(孝)의 가치를 강조하는 동양 윤리사상에서 자주 인용되는 표현이며, 부모의 은혜를 기억하고 그에 보답하려는 인간의 도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한자 풀이反(반): 되돌릴 반哺(포): 먹일 포之(지): ~의 (문장 연결어)孝(효): 효도 효⇒ "되돌려 먹이는 효도" 또는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심"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고사에 따르면, 까마귀는 어릴 때 부모가 먹여 키우지만, 자라서는 부모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한다. 이처럼 동물조차도 부모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점에서, 인간은 더더욱 효도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이 고사성어는 유교 윤리에..
2025. 5. 14.
역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逆鱗(역린)은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이라는 글자 그대로, 임금이나 권력자의 노여움을 사서 화를 입는 일, 또는 건드려서는 안 될 금기 영역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특히 분노를 유발하는 결정적 요소나 치명적인 약점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정치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활용된다.한자 풀이逆(역): 거스를 역鱗(린): 비늘 린⇒ "용의 비늘을 거스르다"는 뜻으로, 용의 몸에 있는 거슬러서는 안 되는 특별한 비늘을 건드린다는 말.유래와 배경『한비자(韓非子)』 「설림」 편에 따르면, 용은 본래 어질고 순한 동물이지만, 목 아래에 한 자 크기의 거슬러 난 비늘이 있어, 이 부위를 건드리면 격렬히 분노하여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이처럼 겉보기에는 온순해 보여도 치명적인 금기나 자극점이 있다는..
2025. 5. 14.
간담상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肝膽相照(간담상조)는 서로 간과 쓸개까지 드러낼 정도로 진심을 터놓고 교류하는 관계를 뜻하는 고사성어로, 진실한 우정, 깊은 신뢰, 마음의 벽이 없는 소통을 상징한다. 겉치레가 아닌 속마음까지 드러내는 교분, 진심 어린 사귐을 지향하는 인간관계의 이상을 표현한 말이다.한자 풀이肝(간): 간膽(담): 쓸개相(상): 서로照(조): 비출 조⇒ 서로의 간과 쓸개를 비추듯 투명하고 깊은 관계유래와 배경《삼국지》에 등장하는 유비와 관우, 장비의 관계가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이들은 생사를 함께한 형제보다 더한 의리로 뭉쳤으며, 전란 속에서도 서로의 내면을 의심 없이 공유했다.또한 『후한서』에는 "肝膽相照, 心腹相期"(간과 쓸개를 드러내며, 속마음을 기대한다)는 표현이 나와, 친구나 벗 사이에 감추는 바 없..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