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51

감언밀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甘言蜜語(감언밀어)는 "甘(감): 달다", "言(언): 말", "蜜(밀): 꿀", "語(어): 말하다"라는 글자 그대로, "달콤한 말과 꿀 같은 이야기"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겉으로는 듣기 좋은 말을 늘어놓아 상대방을 현혹하거나 설득하려는 태도를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감언밀어의 뜻과 유래감언밀어의 정의감언밀어는 달콤한 말로 상대를 현혹하거나 이익을 얻으려는 교묘한 언사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의미듣기 좋고 유혹적인 말을 늘어놓는 태도.상대방의 판단을 흐리게 하거나 마음을 얻기 위한 수단.겉치레와 아첨으로 진심을 감추는 화술.사용 맥락정치인, 상사, 영업사원이 자신의 의도를 감추고 아첨할 때.친구나 연인이 달콤한 말로 상대를 설득하려 할 때.사기나 속임수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감.. 2025. 11. 16.
난득호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難得糊塗(난득호도)는 "難(난): 어렵다", "得(득): 얻다", "糊(호): 흐리다", "塗(도): 어리석다"라는 글자 그대로, "어리석음을 얻기 어렵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현명함과 어리석음의 경계에서 때로는 모르는 척, 혹은 흐리게 행동하는 것이 오히려 지혜로운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난득호도의 뜻과 유래난득호도의 정의난득호도는 일상에서 지나치게 모든 것을 명확히 하려 하기보다, 때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척하거나 흐리게 넘어가는 것이 현명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의미알면서도 일부러 흐리게 행동하는 지혜.때로는 모든 것을 정확히 따지지 않고 관용과 여유를 갖는 태도.지나친 고집이나 명확함이 오히려 문제를 만들 수 있다는 교훈.사용 맥락직장, 가정, 인간관.. 2025. 11. 16.
근주자적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近朱者赤(근주자적)"近(근): 가까이하다", "朱(주): 붉은빛", "者(자): 사람", "赤(적): 붉다"즉,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진다’는 뜻으로,사람은 어떤 환경이나 교제하는 사람에 따라 그 성품이나 행동이 변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다.근주자적의 뜻과 유래근주자적의 정의근주자적은 ‘좋은 사람과 가까이하면 자연히 좋은 영향을 받고, 나쁜 사람과 가까이하면 나쁜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를 가진다.이는 인간의 성품이 선천적인 것만이 아니라, 환경과 관계 속에서 후천적으로 형성된다는 철학적 관점을 담고 있다.의미붉은 색을 가까이하면 자신도 붉게 물든다는 비유.주변 환경이나 교우 관계가 한 사람의 성격과 행실에 깊은 영향을 준다는 뜻.‘환경이 곧 사람을 만든다’는 인생의 진리를 압축한 표현.사용 맥락.. 2025. 11. 11.
출필곡반필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은 "出(출): 나가다", "必(필): 반드시", "告(고): 알리다", "反(반): 돌아오다", "必(필): 반드시", "面(면): 얼굴을 뵙다"라는 글자 그대로,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올 때는 반드시 얼굴을 뵌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 이는 부모에 대한 예(禮)와 효(孝)의 기본 정신을 담은 말로, 집을 나설 때 부모께 알리고, 귀가할 때 얼굴을 뵙는 것이 자식의 도리임을 강조한다.출필곡반필면의 뜻과 유래출필곡반필면의 정의출필곡반필면은 가정의 예절과 효행을 중시하는 유교적 가치관을 상징한다.의미집을 나갈 때 부모에게 반드시 행선과 이유를 알리고, 돌아올 때는 부모께 얼굴을 뵙고 평안함을 전하는 행위.자식의 예의와 책임감을 드러내는 기본 도리.부모와 자식 간의 신.. 2025. 11. 9.
조변석개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朝變夕改(조변석개)는 "朝(조): 아침", "變(변): 변하다", "夕(석): 저녁", "改(개): 바꾸다"라는 뜻으로,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바꾼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이는 하루에도 몇 번씩 생각이나 행동이 변하는 변덕스러움을 비유하는 표현이다.조변석개의 뜻과 유래조변석개의 정의조변석개는 의견이나 결정이 일정하지 않고, 자주 바뀌는 사람이나 태도를 비유한다.의미생각이나 입장을 하루에도 몇 번씩 바꾸는 변덕스러운 성향.약속이나 방침을 쉽게 뒤집는 불신의 태도.일관성이 없는 정치나 행정을 풍자할 때도 사용된다.사용 맥락지도자나 상사의 방침이 자주 바뀔 때.연인의 감정이 하루에도 여러 번 변할 때.계획을 세워도 금세 수정하는 우유부단한 사람을 지적할 때.조변석개의 유래조변석개는 중국의 역사서 .. 2025. 11. 7.
무신불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無信不立(무신불립)은“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는 뜻으로,신뢰와 성실이 인간 존재와 사회 관계의 근본임을 강조한 공자의 가르침이다.무신불립의 뜻과 유래무신불립의 정의무신불립은 사람이 신뢰를 잃으면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사회적으로 설 자리가 없다는 뜻이다.공자는 인간관계의 기본을 ‘신(信)’, 즉 믿음과 성실로 보았다.의미믿음이 없으면 사회적 관계나 인격이 바로 설 수 없다.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으면 신뢰를 잃는다.신뢰는 곧 존재의 근간이다.사용 맥락약속이나 책임을 저버린 사람을 비판할 때.조직이나 지도자의 신뢰가 무너졌을 때.인간관계나 사회의 기본 도리를 논할 때.무신불립의 유래무신불립은 『논어(論語)』 「안연(顏淵)」 편에서 유래한다.공자가 정치의 근본을 묻는 제자 자공(子貢)에게 이렇게 답한다.“.. 2025.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