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토중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捲土重來(권토중래)는 "흙먼지를 말아 올리며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한 사람이 굴하지 않고 다시 도전하여 성공을 거두는 경우를 일컫는 고사성어이다. 절치부심 끝에 재기하거나 복수, 역전의 의미로 쓰이며,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집단이나 국가의 재건 과정에도 자주 비유된다.한자 풀이捲(권): 말다, 휘말다土(토): 흙重(중): 다시, 거듭來(래): 오다⇒ "흙먼지를 휘말며 다시 오다" → 실패 이후 다시 힘차게 돌아오다유래와 배경이 성어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 두목(杜牧)의 시 『제금릉회고(金陵懷古)』에서 유래하였다. 이 시에서 초(楚)나라 항우가 한나라 유방에게 패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 시인은 다음과 같이 탄식하였다:"人生自古誰無死,留取丹心照汗青""捲土重來未可知"항우가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
2025. 5. 14.
상전벽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桑田碧海(상전벽해)는 "뽕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로, 세상이 너무나 크게 변해버렸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다.상전벽해의 뜻과 유래상전벽해의 정의본래 의미桑(뽕나무), 田(밭), 碧(푸르다), 海(바다)로 구성된 이 표현은, 한때 뽕밭이던 땅이 바다로 변한 것처럼 세상일의 무상함과 급격한 변화를 상징한다.사용 맥락오랜 세월이 지나 사회, 환경, 인생 등이 극적으로 바뀐 상황에서 자주 쓰인다. 자연의 변화는 물론, 문화적·제도적 전환, 인생 역전, 산업 전환 등의 맥락에도 응용된다.상전벽해의 유래이 말은 중국 진나라 때의 도사(道士) 곽박(郭璞)의 말에서 유래한다. 곽박이 동해 용왕을 만나러 갔다가 돌아와 “내가 동해에 갔을 때 그곳은 뽕밭이었는데, 지금은 푸른 바다가 되었구나”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
2025. 5. 8.
전화위복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轉禍爲福(전화위복)은 “轉(전): 바꾸다”, “禍(화): 재앙”, “爲(위): 되다, 만들다”, “福(복): 복”으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다. 문자 그대로는 "재앙을 바꾸어 복이 되게 한다"는 뜻이며, 실제로는 불행처럼 보이는 일이 오히려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전화위복의 뜻과 유래전화위복의 정의본래 의미처음에는 화처럼 보였던 일이 결과적으로는 복이 되는 상황사용 맥락위기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전환점이 나타날 때 사용됨. 예상치 못한 변화나 실패가 오히려 좋은 방향으로 이어질 때 인용됨.전화위복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회남자(淮南子)』에 실린 "새옹지마(塞翁之馬)" 이야기에서 파생된 철학적 개념이다.노인이 기르던 말이 도망치자 사람들이 안타까워했지만, 얼마 후 그 말이 더 좋은 말을 데려..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