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연3

각골난망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刻骨難忘(각골난망)은 뼛속 깊이 새겨져 결코 잊을 수 없을 만큼 고마움을 느끼는 마음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단순한 감사의 표현을 넘어, 생애를 통해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은 깊은 은혜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한자 풀이刻(새길 각): 새기다, 각인하다骨(뼈 골): 뼈難(어려울 난): 어렵다忘(잊을 망): 잊다⇒ 뼈에 새겨 잊기 어렵다는 뜻으로, 은혜나 감동을 영원히 잊지 못함을 표현함유래와 배경《후한서(後漢書)》에는 이런 표현이 등장한다. 어떤 인물이 남의 도움으로 큰 위기를 넘긴 뒤, 그 은혜를 잊지 않고 다음 생까지 갚겠다는 뜻으로 “각골난망(刻骨難忘)”이라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은혜에 대한 진심 어린 감사와 보은의 마음을 상징한다.현대적 의미와 활용1. 인간관계인생의 결정적 순간에 도움을 준 사.. 2025. 5. 30.
낙화유수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落花流水(낙화유수)는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본래는 자연의 덧없고 아름다운 풍경을 뜻했으나, 시간이 흐르며 사랑의 아픔, 이루어지지 못한 인연, 혹은 자연스러운 만남과 이별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고사성어로 널리 쓰인다.한자 풀이落(낙): 떨어질 낙花(화): 꽃 화流(류): 흐를 유水(수): 물 수⇒ "떨어지는 꽃이 흐르는 물을 따라간다"는 뜻유래와 배경"낙화유수"라는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의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풍경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무협 소설이나 고전 문학에서 짝사랑, 이루지 못한 사랑, 또는 인연의 허망함을 상징할 때 사용되었다.전통적으로는 꽃은 여성, 물은 남성에 비유되곤 했으며, 두 존재가 서로를 그리워하지만 끝내 만나지 못하는 상황을 묘사하는 데 자주 .. 2025. 5. 17.
회자정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會者定離(회자정리)는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진다"는 뜻의 불교계 고사성어로, 모든 인연에는 끝이 있으며 그 이별은 자연스럽고 필연적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사람 사이의 만남과 이별뿐 아니라, 세상 모든 인연과 현상이 무상함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집착을 내려놓고 평온한 마음을 갖게 하는 데 뜻이 있다.한자 풀이會(회): 만날 회者(자): 사람 자定(정): 반드시 정, 정해질 정離(리): 헤어질 리⇒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이별하게 된다"는 의미.유래와 배경회자정리는 『잡아함경(雜阿含經)』, 『열반경(涅槃經)』 등 불교 경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이다. 석가모니가 제자들과의 이별을 예고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법한 내용에서 비롯되었다:“會者定離, 生者必滅(생자는 반드시 죽고,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진..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