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승자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自繩自縛(자승자박)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즉, 남의 탓이 아닌 스스로의 실수나 과오로 인해 발이 묶이거나 자유를 잃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충수(自充手)’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한자 풀이自(자): 스스로繩(승): 줄, 노끈自(자): 스스로縛(박): 묶다, 매다⇒ "자기가 만든 끈으로 자기를 묶는다."유래와 배경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직접적인 고사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선진시대(先秦時代) 문헌인 『장자(莊子)』나 『한비자(韓非子)』 등에서 유사한 사상과 표현들이 등장한다. 이는 인간이 제도를 만들거나 말과 규칙을 앞세우다가 오히려 자신이 만든 것에 스스로 얽매이는 상황을 경계한 지혜에서..
2025. 6. 8.
개과천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改過遷善(개과천선)은 잘못을 고치고 착한 길로 나아간다는 뜻의 고사성어로, 인간이 본인의 과오를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삶을 지향하려는 태도를 강조한다. 윤리적, 종교적, 사회적으로 모두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헌과 담론 속에서 이 개념은 반복되어 왔다.한자 풀이改(개): 고칠 개過(과): 허물 과遷(천): 옮길 천, 옮기다善(선): 착할 선, 선함⇒ "허물을 고쳐 착한 쪽으로 옮긴다"는 의미유래와 배경『예기(禮記)』나 『논어(論語)』 등 유가 경전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공자가 제자들에게 수시로 강조했던 성찰과 교정, 자기수양의 중요성과 맞닿아 있다. 공자는 “지금의 나쁜 습관이나 잘못된 행동을 고치고 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인(仁)을 실천하는 시작”이라고 ..
2025.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