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자해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結者解之(결자해지)는 어떤 일을 시작한 사람이 그 일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원래는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만든 사람이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쓰인다. 직역하면 "맺은 자가 푼다"는 말로, 책임과 해결의 주체를 명확히 하는 교훈적 표현이다.한자 풀이結(결): 맺을 결者(자): ~한 사람解(해): 풀 해之(지): ~의, 그것⇒ "일을 맺은 사람이 그 일을 풀어야 한다"는 뜻유래와 배경이 표현은 중국 고전에서 기원한 것으로, 구체적인 고사로는 명확히 남아 있지 않지만 『한서(漢書)』나 『후한서(後漢書)』 등 여러 사서에서 비슷한 문맥으로 사용된 바 있다. 특히 정치적 음모나 복수, 오해 등 복잡하게 얽힌 인간관계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결자해지"의 원칙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고사성어로..
2025. 5. 10.
인과응보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因果應報(인과응보)는 "원인(因)과 결과(果)에 따라 반드시 응보(應報)가 따른다"는 의미로, 사람의 모든 행위에는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따른다는 도덕적ㆍ철학적 원리를 담고 있는 사자성어다. 불교, 유교, 도교 등 동양 사상에서 중심 개념으로 자리 잡아온 이 말은 선한 행위에는 복이, 악한 행위에는 화가 따른다는 인식의 근거가 된다.한자 풀이因(인): 원인, 까닭果(과): 결과, 열매應(응): 응하다, 반응하다報(보): 보답, 갚다=> 원인과 결과가 상응하여 보답된다는 의미유래와 배경불교 경전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특히 『법구경(法句經)』, 『유마경(維摩經)』 등에서 이 개념이 강조된다. 유교에서도 『논어』와 『맹자』 등에서 도덕적 행위의 결과에 대한 응보의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예를 들어 불교..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