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정만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鵬程萬里(붕정만리)는“鵬(붕): 상상의 새 붕”, “程(정): 길”, “萬(만): 만”, “里(리): 리(거리 단위)”라는 뜻으로,직역하면 ‘붕새가 날아가는 길이 만 리나 된다’는 의미다.이는 큰 포부를 지닌 사람이 앞날에 끝없는 발전과 성공을 이룰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다.붕정만리의 뜻과 유래붕정만리의 정의붕정만리는 장차 크게 성공할 가능성이 있거나, 앞길이 탁 트여 있는 사람의 미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의미장대한 뜻과 원대한 앞날을 비유하는 말.인생의 여정이나 사업, 학문 등에서 발전의 가능성이 무궁함을 뜻함.젊은이의 앞날을 축복하거나, 장래를 격려할 때 자주 쓰임.사용 맥락학생의 졸업식, 승진, 개업, 출정식 등 새로운 출발을 축하할 때.예: “그의 앞날이 붕정만리이길 빈다.”붕정만리의 유래이 사자..
2025. 11. 10.
무위자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無爲自然(무위자연)은“無(무): 없음”, “爲(위): 인위적으로 하다”, “自(자): 스스로”, “然(연): 그러하다”라는 뜻으로,“아무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자연의 이치대로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이는 인위적인 욕망을 버리고 자연스러운 순리 속에 조화를 이루는 삶의 태도를 상징하는 고사성어다.무위자연의 뜻과 유래무위자연의 정의무위자연은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지 않고, 인위적인 간섭을 최소화한 채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상태’를 이상으로 삼는 사상이다.의미억지로 꾸미거나 조작하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맡겨 살아가는 태도.인간의 욕망이나 계획보다 자연의 이치가 더 크다는 인식.인위적 행위를 버리고,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는 철학적 자세.사용 맥락도가(道家) 철학에서 인간의 이상적 삶의 원리로 사용됨.현대에서는..
2025. 10. 26.
정저지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井底之蛙(정저지와)는"井(정): 우물", "底(저): 바닥", "之(지): ~의", "蛙(와): 개구리"라는 한자 그대로,‘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다.이는 좁은 시야와 한정된 경험만으로 세상을 판단하는 사람을 비유할 때 쓰인다.정저지와의 뜻과 유래정저지와의 정의정저지와는 자신의 한계를 깨닫지 못한 채, 제한된 시야로 세상을 판단하는 사람이나 태도를 가리킨다.의미세상은 넓고 배울 것은 많은데, 자신이 아는 세계가 전부인 줄 아는 어리석음.좁은 경험 속에서 자만하거나 타인을 무시하는 태도.시야와 사고의 한계, 배움의 부족을 풍자하는 말.사용 맥락학문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만 옳다고 주장할 때.한 분야나 지역에만 갇혀 세상의 다양성을 보지 못할 때.자기중심적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사람을..
2025. 10. 22.
미생지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尾生之信(미생지신)은"尾(미): 꼬리, 사람 이름 ‘미생’","生(생): 태어나다, 사람의 이름을 나타냄","之(지): ~의","信(신): 믿음, 신의"즉 “미생의 신의(信義)”, 곧 끝까지 약속을 지키려다 죽은 미생의 믿음을 뜻하는 고사성어다.이는 신의를 목숨보다 귀하게 여겼으나, 그 집착으로 스스로 화를 자초한 인물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로, 오늘날에는 ‘융통성 없는 고지식함’이나 ‘맹목적 충성’을 풍자하거나 경계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미생지신의 뜻과 유래미생지신의 정의미생지신은 약속을 한 번 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반드시 지키려는 극단적인 신의의 상징이다.그러나 동시에, 현실을 외면한 채 원칙만을 고집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기도 한다.핵심 의미약속과 신의를 지키려는 고결한 마음.상황 판단을 잃은 ..
2025. 10. 8.
당랑거철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螳螂拒轍(당랑거철)은 자기 힘을 가늠하지 못한 채 강대한 상대에게 무모하게 맞서는 모습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다. 실제로는 상대가 훨씬 강력한데도, 객기를 부리거나 정의감에 불타 도전하는 상황을 표현한다. 그러나 이 성어는 단순히 무모함만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의로운 용기나 절박한 저항의 모습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한자 풀이螳螂(당랑): 사마귀拒(거): 막다, 맞서다轍(철): 수레바퀴 자국, 수레의 바퀴=>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으려 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힘을 생각지 않고 거대한 힘에 맞서는 행동을 의미한다.유래와 배경《장자(莊子)》 혹은 《사기(史記)》의 일부 편에서 유래된 일화로, 사마귀 한 마리가 앞으로 오는 수레를 향해 낫 같은 앞발을 들고 길을 막은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그 모습이 ..
2025. 5. 9.
조삼모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朝三暮四(조삼모사)는 “朝(조): 아침”, “三(삼): 셋”, “暮(모): 저녁”, “四(사): 넷”이라는 한자어로, 글자 그대로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형식만 달라졌을 뿐 내용은 같음에도, 겉모습에 속아 다르게 받아들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조삼모사의 뜻과 유래조삼모사의 정의조삼모사는 눈앞의 작은 이익이나 손실에 집착하거나, 본질은 같음에도 형식의 변화에 현혹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된다.의미본질은 같음에도 형식상의 차이에만 집착하는 모습눈앞의 이익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쉽게 속는 태도교묘한 말재주로 사람을 현혹시키는 꾀사용 맥락정치, 경제, 교육 등에서 단기적 효과만 강조하는 조치나 정책을 비판할 때소비자가 마케팅에 쉽게 속는 상황겉모습이나 말솜씨에 휘..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