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의3

호연지기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浩然之氣(호연지기)는 하늘과 같이 크고 정직하며 꺾이지 않는 기운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도덕적 신념과 의지, 그리고 내면의 올곧음이 자연스럽게 뿜어져 나오는 기상을 상징한다. 맹자의 철학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외부의 유혹과 억압에 굴하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힘, 곧 도덕적 자존감과 정신적 기백을 말한다.한자 풀이浩(호): 넓고 큰 물결然(연): 그러할 연 (자연스러움, 상태)之(지): ~의 (지시대명사)氣(기): 기운, 에너지⇒ "크고 맑으며 하늘처럼 넓은 기운"유래와 배경《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문장이다. 맹자는 이렇게 말한다:“我善養吾浩然之氣。”“나는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길러왔다.”맹자는 호연지기를 '의(義)'에 바탕을 두고 하늘과 통하는 기운이라 했다. 이는 물리적 힘.. 2025. 5. 10.
읍참마속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泣斬馬謖(읍참마속)은 “泣(읍): 울다”, “斬(참): 목을 베다”, “馬謖(마속): 인물 이름”으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공정한 원칙과 대의를 위해 개인적인 정을 버리는 결단을 의미한다.읍참마속의 뜻과 유래읍참마속의 정의본래 의미눈물을 흘리며 사랑하는 사람을 처형한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고 대의를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사용 맥락조직이나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가까운 사람일지라도 공정한 처벌이나 조치를 감행해야 할 때 인용된다.읍참마속의 유래삼국지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제갈량이 북벌을 감행하면서 마속(馬謖)에게 요충지인 가정을 맡긴다. 그러나 마속은 명령을 어기고 요령 없이 산 위에 진을 쳐 적에게 포위당해 참패한다. 제갈량은 마속을 총애했으나, 군율을 세우기 위해 그를 눈물을 머금.. 2025. 5. 7.
사필귀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事必歸正(사필귀정)은 “事(사): 일”, “必(필): 반드시”, “歸(귀): 돌아간다”, “正(정): 바름”이라는 구성으로, 글자 그대로는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방향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일시적으로 부정과 억울함이 승리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정의와 진실이 드러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사필귀정의 뜻과 유래사필귀정의 정의본래 의미아무리 상황이 혼란스럽거나 부정의가 판치는 듯해도, 결국 모든 일은 옳은 방향으로 흐른다.진실과 정의는 시간이 지나 반드시 드러난다.사용 맥락사회 정의, 사법 판단, 역사 평가 등에서 자주 인용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을 위로하거나, 정의 실현을 신뢰할 때 사용사필귀정의 유래‘사필귀정’은 특정 문헌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라기보다는, 유교적 정의관에 기반한 사자성어로, 조선 후기 문..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