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兎死狗烹(토사구팽)은"兎(토): 토끼", "死(사): 죽다", "狗(구): 개", "烹(팽): 삶다"라는 한자로,“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는다”는 뜻의 고사성어다.이는 필요할 때는 이용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가차 없이 버리는 행위를 비유한다.토사구팽의 뜻과 유래토사구팽의 정의토사구팽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함께한 사람을 일이 끝난 뒤 배신하거나 제거하는 행위를 비유한다.의미필요할 때는 이용하다가 일이 끝나면 버림.공을 세운 사람을 시기하거나 제거하는 정치적 행태.인간관계에서의 냉정한 이익 계산의 상징.사용 맥락정치권이나 조직에서 공신이 제거될 때.사업에서 일시적으로 협력한 뒤 배신하는 경우.인간관계에서 이익만을 추구할 때.토사구팽의 유래이 성어는 중국 고전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
2025. 10. 22.
호가호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狐假虎威(호가호위)는 “狐(호): 여우”, “假(가): 빌리다”, “虎(호): 호랑이”, “威(위): 위세”로 구성된 고사성어다. 문자 그대로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이며, 실제로는 힘이 없지만 강한 자의 권세를 등에 업고 행세하는 모습을 비유한다.호가호위의 뜻과 유래호가호위의 정의본래 의미자신의 힘이 아님에도 권력자의 권세를 이용해 세도를 부리는 것사용 맥락실력 없이 권세만 믿고 남을 억누르거나, 권력 주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를 비판할 때 사용됨호가호위의 유래『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한다.호랑이가 여우를 잡아먹으려 하자 여우가 이렇게 말한다. “하늘이 나를 모든 짐승의 왕으로 만들었으니, 감히 나를 먹으면 천벌을 받을 것이다. 의심이 간다면 나와 함께 숲..
2025. 5. 4.
조삼모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朝三暮四(조삼모사)는 “朝(조): 아침”, “三(삼): 셋”, “暮(모): 저녁”, “四(사): 넷”이라는 한자어로, 글자 그대로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형식만 달라졌을 뿐 내용은 같음에도, 겉모습에 속아 다르게 받아들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조삼모사의 뜻과 유래조삼모사의 정의조삼모사는 눈앞의 작은 이익이나 손실에 집착하거나, 본질은 같음에도 형식의 변화에 현혹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된다.의미본질은 같음에도 형식상의 차이에만 집착하는 모습눈앞의 이익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쉽게 속는 태도교묘한 말재주로 사람을 현혹시키는 꾀사용 맥락정치, 경제, 교육 등에서 단기적 효과만 강조하는 조치나 정책을 비판할 때소비자가 마케팅에 쉽게 속는 상황겉모습이나 말솜씨에 휘..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