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록위마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指鹿爲馬(지록위마)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권력을 이용해 억지로 거짓을 참인 양 강요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고사성어다. 이 표현은 고의적인 진실 왜곡, 강압적 언론 통제, 권력의 남용 등 다양한 사회적 부조리를 상징하며, 시대를 초월하여 경계해야 할 태도를 상징한다.한자 풀이指(지): 가리킬 지鹿(록): 사슴 록爲(위): 할 위, ~로 여기다馬(마):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유래와 배경지록위마는 《사기(史記)》의 ‘진시황본기’와 ‘이사열전’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진나라의 2대 황제인 호해가 즉위하자, 권력자인 환관 조고(趙高)는 자신의 권력을 시험하고자 사슴을 황제에게 바치며 말했다.“이는 말이옵니다.”황제가 “이건 사슴이 아닌가?”라고 하자, 조고는..
2025. 5. 12.
함흥차사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咸興差使(함흥차사)는 "함흥으로 간 사신"이라는 뜻으로, 심부름이나 사명을 띠고 간 사람이 소식도 없고 돌아오지도 않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함흥차사의 뜻과 유래한자 풀이咸興(함흥): 조선 시대 태조 이성계가 낙향한 지역, 현재의 북한 함흥差使(차사): 임무를 띠고 파견된 사람, 사신유래 배경조선 태조 이성계는 왕위 계승 문제와 관련한 갈등으로 인해 큰 아들 방우가 아닌 다섯째 방원을 후계로 정한다. 방원은 정적을 제거하고 왕이 되었으나, 이성계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겨 함흥으로 낙향하게 된다.방원은 아버지의 귀환을 요청하며 여러 차례 사신을 보냈으나, 그 사신들이 이성계의 분노로 인해 돌아오지 못하거나 죽임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에 따라 "함흥에 간 사신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생기게 되었고..
2025. 5. 8.
호가호위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狐假虎威(호가호위)는 “狐(호): 여우”, “假(가): 빌리다”, “虎(호): 호랑이”, “威(위): 위세”로 구성된 고사성어다. 문자 그대로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이며, 실제로는 힘이 없지만 강한 자의 권세를 등에 업고 행세하는 모습을 비유한다.호가호위의 뜻과 유래호가호위의 정의본래 의미자신의 힘이 아님에도 권력자의 권세를 이용해 세도를 부리는 것사용 맥락실력 없이 권세만 믿고 남을 억누르거나, 권력 주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를 비판할 때 사용됨호가호위의 유래『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한다.호랑이가 여우를 잡아먹으려 하자 여우가 이렇게 말한다. “하늘이 나를 모든 짐승의 왕으로 만들었으니, 감히 나를 먹으면 천벌을 받을 것이다. 의심이 간다면 나와 함께 숲..
2025. 5. 4.
역지사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易地思之(역지사지)는 “易(역): 바꾸다”, “地(지): 입장, 처지”, “思(사): 생각하다”, “之(지): 그것”의 구성으로, 글자 그대로는 “처지를 바꾸어 그것을 생각하다”, 즉 “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라”는 뜻이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공감과 배려의 태도를 강조하는 표현이다.역지사지의 뜻과 유래역지사지의 정의본래 의미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태도.감정적, 윤리적 공감뿐 아니라 판단과 행동의 기준을 확장하는 사고 방식.사용 맥락인간관계, 리더십, 갈등 조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가치.역지사지의 유래역지사지는 고전 문헌에서 명확히 정형화된 고사성어라기보다는, 유교적 사고에서 유래한 도덕적 개념이다. 『맹자(孟子)』, 『예기(禮記)』..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