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2

목불식정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目不識丁(목불식정)은“目(목): 눈”, “不(불): 아니다”, “識(식): 알다”, “丁(정): 천간(天干)의 네 번째 글자, 아주 쉬운 글자”라는 뜻에서 나온 고사성어다. 즉, 눈앞에 글자가 있어도 '丁' 자조차 알아보지 못한다는 의미로, 전혀 글자를 읽지 못하는 문맹 상태를 가리킨다.이는 단순히 문자를 모른다는 뜻을 넘어, 기본적인 교양이나 학식이 부족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된다.목불식정의 뜻과 정의목불식정의 정의목불식정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의미한 글자도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상태.아주 기초적인 지식조차 갖추지 못한 경우를 비유.학문적 교양이 부족한 사람을 낮추어 말할 때 사용.사용 맥락글자를 전혀 모르는 사람을 설명할 때.특정 분야에서 기초가 부족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2025. 9. 2.
격물치지 뜻, 유래, 한자, 비슷한 말(유사어), 예문(예시), 영어로, 속담, 반대말 格物致知(격물치지)는 성리학(性理學)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사물의 이치를 철저히 탐구함으로써 참된 지식과 도덕적 깨달음에 이른다는 뜻이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학문적 자세와 수양 방법을 대표하는 말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기초가 되며, 인간 내면의 완성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아우르는 철학적 기반을 이룬다.한자 풀이格(격): 바로잡다, 따지다物(물): 사물致(치): 이르다, 도달하다知(지): 앎, 지식⇒ 사물의 이치를 바로잡고 연구하여 지식에 이른다.유래와 배경『예기(禮記)』의 「대학(大學)」 편에 처음 등장하는 표현이다. 대학 팔조(八條목) 중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 유래한다:"欲誠其意者,先致其知。致知在格物。""그 뜻을 성실히 하고자 한다면 먼저 지식을 도달해야 하며, 지식에 도달하는 것은 사.. 2025. 5. 17.